Page 60 - 월간HRD 2025년 8월호
P. 60
SPECIAL report 창간 35주년 기념 HRD스탭 업무수행 실태조사
현재 가장 많이 교육훈련 성과측정 수준
실시하는 교육
인 것은 긍정적인 부분이다. 은 질문에 대한 응답을 살펴보면 15.6%
다음으로 ‘현재 가장 많이 실시하는 교육 가 ‘사전 진단평가 혹은 형성평가를 통
들’로는 무엇이 있는지 질문을 던져봤다. 한 교육목표 명확화’를 해내고 있었고,
우선 상단의 그래프에서 바로 확인할 39.7%가 ‘진단평가 및 교육목표 기반의
수 있는 교육들은 비중 순으로 직무교육 총괄평가 1단계 반응평가 실시’를 하고
(42.3%), AI/디지털교육(17.9%), 리더 있었다. 그리고 19.5%가 ‘진단평가 및
십교육(17.3%), 공통역량교육(17.3%) 교육목표 기반의 총괄평가 2단계 학습평
이었다. 기타(5.2%)에는 마인드셋교육, 가 실시’를 하고 있었고, 9.8%가 ‘진단평
핵심가치내재화교육, 주니어보드, 팀워 가 및 교육목표 기반의 총괄평가 3단계
크숍, 체인지에이전트교육, 복지교육, 행동변화평가 실시’를 수행하고 있었다.
CS교육, 신입사원교육 등을 가장 많이 ‘진단평가 및 교육목표 기반의 총괄평가
시행한다는 응답이 있었다. 작년의 경 4단계 결과평가 혹은 ROI’를 실시하고
우 공통역량교육이 18.5%, 직무교육이 있는 HRD담당자들은 3.3%였으며, ‘성
33.7%, 리더십교육이 28.1%, AI/디지 과측정을 통한 교육프로그램 개선 조치
털교육이 15.2%를 차지했다. 그리고 기 취함’에 응답한 비율은 12.1%였다. 동일
타(4.5%)에는 핵심가치교육, 직업능력 한 순서대로 작년에 기록된 응답률을 보
개발훈련, 미래기술/SW(신사업관련)교 면 15.2%, 38.2%, 22.5%, 9%, 2.2%,
육, 버크만진단/강점역량진단교육, 조직 12.9%였다. 여전히 HRD의 품질을 좌
활성화교육, 신입사원 입문교육 등이 포 우하는 요인인 성과측정에서 HRD스탭
함되어 있었다. 들의 역량 수준이 더욱 높아져야 함을
이어서 ‘교육훈련의 성과측정 수준’을 물 확인할 수 있다.
58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