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7 - 월간HRD 2025년 8월호
P. 57
SPECIAL report 창간 35주년 기념 HRD스탭 업무수행 실태조사
1달 중 가장 경영전략에 대응한
공들이는 과업 HRD 키워드
니까?’라는 질문을 던졌다. 목적은 ID, Ⅳ. 경영/현장과 HRD의 연계
CD, OD 부분에서 키워드를 살펴본 데 경영 현안과 비즈니스 현장과의 연계성
이어 조금 더 구체적으로 HRD스탭들 은 HRD스탭의 지상과제다. 따라서 『월
이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 간HRD』는 먼저 ‘귀사의 경영전략에 따
함이었다. 답변을 보면 교육기획과 교육 른 HRD 이슈는 무엇인가요?’라는 질문
운영, 그리고 AI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을 준비했다. 여기에 대한 응답을 정리
높았다. 이외에는 보고서 작성과 강의, 해보면 AI, 리더십, 전문성, 조직문화,
CoP, 교육준비, 조직문화, 리더십, 트렌 DX, 소통, 글로벌, CDP, 직무교육의
드파악, 강사섭외 등의 키워드가 주목할 노출 빈도가 높았다. AI는 많은 기업이
만했다. 교육기획의 경우 HRD스탭으 경영전략에 담는 키워드이며, 지금은 대
로서 조직과 구성원 역량개발을 위해 현 기업을 중심으로 자체 생성형 AI를 개발
재 어떤 교육이 가장 필요한지, 그 교육 해서 출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DX는 AI
을 위한 세부 콘텐츠와 프로그램을 어떻 와 함께 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 비즈니
게 개발할 것인지를 아우르는 만큼 중요 스 성과를 높이고자 하는 움직임을 상징
한 과업이다. 교육운영 역시 아무리 좋 하는 키워드이며, 리더십은 모든 질문에
은 교육을 기획하더라도 제대로 운영하 서 많은 빈도수를 보이고 있다. 전문성
지 못하면 효과가 없는 만큼 중요성이 과 직무교육의 경우 경영진이 요구하는
높다. 그런가 하면 이 두 가지 업무는 AI 구성원 직무전문성 향상을 의미하며, 조
활용력이 높을 경우 부담을 줄일 수 있 직문화와 소통에는 조직 내 커뮤니케이
는데, HRD스탭들은 관련해서 AI를 깊 션 활성화 니즈가 담겨 있고, 글로벌은
이 탐구하고 있기에 긍정적이었다. 성공적인 해외사업을 위한 인재육성을
AUGUST HRD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