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5 - 월간HRD 2025년 8월호
P. 55
SPECIAL report 창간 35주년 기념 HRD스탭 업무수행 실태조사
HRD 3개 영역의 집중도 개인개발(ID)
선택자들의 현안
Ⅲ. HRD업무 무게중심 되는 키워드’라고 해석할 수 있는 직무
HRD스탭들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는 역량, 스킬셋, 직무교육, 자기주도학습,
결국 개인개발(ID), 경력개발(CD), 조 AI교육, 직무전문성, 기획력, 역량강화,
직개발(OD) 중 하나에 들어간다. 그런 이러닝, 자기주도학습, 디지털 등의 비
만큼 『월간HRD』는 ‘HRD 3개 영역 중 중이 높았다. 기업은 각기 다른 구성원
어디에 집중하고 있습니까?’라는 질문 이 모여 같은 목표를 달성해서 성과를
을 던졌다. 들어온 답변을 정리해보면 창출하기 위해 일한다. 그런 만큼 리더
40.4%가 조직개발(OD)에, 41.7%가 개 십 수준은 기업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할
인개발(ID)에, 17.9%가 경력개발(CD) 수 있다. 예나 지금이나 기업이 어떤 형
에 집중하고 있었다. 작년의 경우 42.7% 태로든 리더십교육에 공을 들이는 이유
가 개인개발(ID)에, 36%가 조직개발 다. 구성원 개개인의 역량/생산성 수준
(OD)에, 21.3%가 경력개발(CD)에 집 을 확인할 수 있는 직무도 마찬가지다.
중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계속해서 『월 AI는 생성형 AI가 등장한 이후 계속 높
간HRD』는 참여자들이 집중한다고 말한 아지고 있는데 HRD스탭들은 일하고 학
영역에서 주로 수행하고 있는 과업은 무 습하는 방식에 AI를 전략적으로 도입/활
엇인지 추가 질문을 던졌고, 응답은 워 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IDP의 경우 개
드클라우드 형태로 정리했다. 인 차원의 학습이 필요한 영역은 구성원
먼저 개인개발(ID)에선 ‘리더십’이 가장 의 자기주도성에 맡긴 뒤 보다 전략적인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직무’가 그 뒤 HRD활동에 집중하기 위한 기반이자 시
를 이었으며 ‘AI’와 IDP도 비중 있는 키 스템이다.
워드였다. 4개 키워드 다음으로는 ‘파생 다음으로 경력개발(CD)에선 AI의 노출
AUGUST HRD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