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8 - 월간HRD 2025년 8월호
P. 58
SPECIAL report 창간 35주년 기념 HRD스탭 업무수행 실태조사
HRD조직을 향한 어려운 HRD 과업
현장 니즈
요구한다. 그리고 CDP는 과거보다 이 Ⅴ. HRD업무의 난이도와 자동화
직이 활발한 요즘 경영환경에서 구성원 기업에 존재하는 업무들은 난이도에 차
에게 체계적인 경력개발 로드맵을 제시 이가 있기 마련이다. 이는 업무를 수행
할 수 있어야 한다는 메시지다. 하는 데 있어 우선순위를 설정해야 하는
다음으로 『월간HRD』는 ‘현장에서 HRD 이유다. 또한, 생성형 AI가 등장한 이후
부서에 주로 어떤 것들을 요구하는가’를 기업들은 업무의 편의성을 높이는 작업
물었는데 AI, 리더십, 현장성, 전문성, 에 매진하고 있다.
직무교육, 트렌드, 실효성, 온보딩 등이 이런 두 가지 특성에 맞춰 『월간HRD』는
눈에 띄는 키워드였다. 먼저 AI는 일에 먼저 특히 어렵다고 생각하는 과업들로
효과적으로 AI를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는 무엇이 있는지 질문을 던져봤다. 질
길러주는 교육을 원하는 움직임을 압축 문에 대한 응답을 보면 작년에 이어 AI
하고 있었다. 아울러 현장은 문제해결의 가 많은 빈도수를 보였고, 세부 내용 역
연속이고 매우 빠르게 변화하는 만큼 직 시 어떻게 하면 HRD스탭은 물론 기업
무전문성이 요구되기에 모든 교육은 실 구성원 전체의 AI 리터러시를 향상시
효성과 현장성을 중심으로 현장을 지원 킬 수 있을지를 고민하고 있었다. 그리
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현 고 성과측정이 여전한 HRD스탭의 고
장의 인원들은 일터 밖의 트렌드 변화를 민거리였고 교육평가, 직무분석, 교육
궁금해했고, 리더의 경우 어떤 리더십을 기획, 교육효과성 측정, ROI 측정 등도
발휘해야 하는지 고민이 많았으며 신규 HRD스탭들이 계속해서 어려움을 느끼
직원들을 위한 수준 높은 온보딩 실행을 며 돌파구를 찾고자 하는 과업들이었다.
요구하고 있었다. 그런가 하면 교육예산을 확보하는 것도
56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