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5 - 월간HRD 2025년 8월호
P. 65
SPECIAL report 창간 35주년 기념 HRD스탭 업무수행 실태조사
▲ 설문조사는 같은 내용을 다루더라도 참여자들의 프로필, 참여자 인원수, 조사를 시행한 시점 등에 따라 세부 차이가 존재한다. 그런
만큼 주기적으로 꾸준히 시행해야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HRD조직의 독립성과 HRD스탭의 경력 있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각각 절반 정도
수준은 만족스러운 수준이라고 진단하 인 것은 말씀드린 상황들이 반영된 것이
시는지 듣고 싶다. 아닌가 생각한다. 다만 HRD스탭의 경
HRD조직의 독립성은 두 가지로 설명 력에 있어 ‘비전공자가 64%를 넘는 것’,
할 수 있다. 하나는, 독립적이라는 것 ‘5년 미만의 경력자가 절반이 된다는 것’
은 다른 부서의 눈치를 보지 않고 소신 은 다소 생각해볼 문제다. HRD는 ‘사람
있게 HRD제도를 운영한다는 점을 반 의 성장’을 중요한 직업적 가치로 두는
영한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다른 하 분야다. 그러다 보니 비전공자인 분들,
나는, HRD업무는 채용, 성과평가, 복 어쩌다가 HRD업무를 수행하게 되는 분
지, 웰빙 등 직원들이 일하는 방식에 영 들, 초기경력자분들이 일할 경우 일종의
향을 주는 여러 HR 요인과 연관되어 있 ‘사명감’이 줄어들거나 단순한 HRD업무
어 오히려 독립적이지 않게 운영되는 것 에만 집중할 수 있다. 이는 HRD업계 전
이 HRD업무 본연의 특성이라고 볼 수 반의 업무성과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있다. ‘HRD업무가 독립적인가?’라는 질 그렇지만 비전공자가 업무를 맞게 되는
문에는 짐작건대 두 가지 인식이 혼합된 것은 HRD뿐만 아니라 여러 직무에서도
응답이 기록됐을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나타나는 현상임을 고려할 때, HRD에
‘독립적이다’, ‘HR 산하에 HRD부서가 뒤늦게 흥미를 갖게 되고 그러면서 적성
AUGUST HRD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