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6 - 월간HRD 2025년 8월호
P. 56
SPECIAL report 창간 35주년 기념 HRD스탭 업무수행 실태조사
경력개발(CD) 조직개발(OD)
선택자들의 현안 선택자들의 현안
빈도가 가장 높았고 직무, CDP, 리더십, 다. 아울러 ‘파생되는 키워드’인 온보딩,
CS, 직무역량, 직무분석, IDP 등이 뒤 성과관리, 일하는방식, 핵심가치, 성과,
를 이었다. AI는 업무의 편의성을 높여 목표 등의 노출 비율이 높았다. 아울러
주는 유용한 툴이다. 그런 만큼 구성원 조직 전반의 역량을 높여주는 리더십의
의 경력개발 현황을 관리하고, 구성원에 비율이 역시 높고, 조직문화의 역동성
게 경력개발 로드맵을 추천해주는 데 있 과 건강성을 높여야 한다는 HRD스탭들
어 AI를 활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많았 의 인식이 높았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
다. 직무의 경우 직장인의 경력 포트폴 다. 특히, HRD스탭들은 조직문화 발전
리오 수준을 높이는 기제이며 CDP의 경 을 거대한 과제로 잡은 다음 세부적으로
우 HRD스탭들이 전통적으로 수행해왔 정확한 조직문화 진단은 어떻게 해야 하
던 과업이다. CS는 구성원의 자격증 취 는지, 일하는 방식과 성과관리를 어떻게
득을 지원하고 있다는 답변에서 도출된 변화시켜야 하는지, 소통과 협업은 어떻
키워드이며, 직무역량, 직무분석, IDP은 게 활성화시켜야 하는지, 팀빌딩, 학습
개인개발(ID)에서도 많이 노출되었는데 조직, 온보딩, 코칭 등은 어떻게 운영해
이는 ID와 CD가 HRD스탭의 업무에서 야 하는지를 고민하고 있었다. 핵심가
혼재되어 있다는 뜻이기도 한 만큼 확실 치 내재화는 세대가 과거보다 빨리 변화
한 구분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하고 있고, 개인을 중시하는 직장인들이
이어서 조직개발(OD)에서는 AI, 조직 많아지고 있는 만큼 HRD스탭들의 과업
문화, 리더십이 가장 빈도수가 높은 키 에서 더욱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워드였고, 조직진단, 변화관리, 소통, 조 마지막으로 『월간HRD』는 ‘1달 기준 가
직활성화, 팀빌딩, 협업 등이 뒤를 이었 장 많은 시간을 투입하는 업무는 무엇입
54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