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3 - 월간HRD 2025년 8월호
P. 53

SPECIAL report    창간 35주년 기념 HRD스탭 업무수행 실태조사





                          HRD/교육 관련                             HRD업무를

                              전공 여부                         담당하게 된 배경




















                     든 HRD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주변에               Ⅱ. HRD와의 만남
                     널리 알려온 HRD스탭들의 공헌도가 상              사람의 인생을 보면 어렸을 때부터 확실
                     당했을 것이다.                           한 꿈과 목표를 갖고 있었던 이들도 많
                     일곱 번째로 ‘HRD/교육 관련 전공자’인            지만, 삶에서 마주하는 여러 문제를 해
                     지 확인하고자 준비한 질문에는 64.8%             결하는 데 있어 최선이라고 생각되는 선
                     가 아니라고 답했고, 35.2%가 맞다고 답           택을 하며 진로를 확정했거나, 예상치
                     했다. 작년의 경우 68%가 비전공자였              못한 인연/멘토를 만난 뒤 자신만의 적
                     고, 32%가 전공자였다. HRD스탭들 중            성과 꿈을 찾았거나, 회사에서 부여한
                     에는 현장에서 전문성을 쌓고 역량을 입              직무를 수행하면서 그 직무에 적합한 인
                     증한 다음 경영진의 권유로 HRD를 담              재로 변모한 사람들도 정말 많다. 『월간
                     당하게 된 이들이 상당하다. 이는 경영              HRD』는 이런 부분에서 문제의식을 가
                     진이 현장의 성과 창출에 공헌하는 전               진 다음, 조금 더 구체적으로 HRD스
                     략적 인적자원개발의 중요성과 필요성                탭들의 배경을 확인하고자 ‘회사 내에
                     을 인지하고 있다는 뜻이기에 부정적인               서 인적자원개발(HRD)을 담당하게 된
                     모습이 아니다. 또한, 민간과 공공을 막             배경은 어떻게 됩니까?’라는 질문을 준
                     론하고 많은 조직이 주기적으로 순환근               비했는데 ‘직무순환(34.5%)’, ‘전문성 갖
                     무를 실시하는 만큼 개인의 의지가 아               춘 후 경력직 입사(26.1%)’, ‘자신의 희
                     닌 시스템에 의해 HRD스탭이 된 이들              망(24.4%)’, ‘최초 배치(15%)’ 순으로 응
                     도 상당하다. 동시에 질문에 대한 결과              답이 기록됐다. 작년의 경우 응답은 자
                     는 HRD 업계 자체의 판을 더 키워야 한            신의 희망(28.7%), 직무순환(26.4%), 전
                     다는 것도 시사하고 있었다.                    문성 갖춘 후 경력직 입사(25.8%), 최초


                                                                          AUGUST HRD  51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