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5 - 월간HRD 2025년 8월호
P. 75

AI LITERACY 한국HRD협회-팀스파르타 특별포럼



























                     ▲  엄형태 팀스파르타 본부장은 기업의 AI교육이 왜 이전과 달  ▲  오석영 연세대 교수는 전략적 학습경험 설계 측면에서 기업
                      라져야 하는지를 여러 성공사례를 통해 다뤘다.          의 AI 리터러시 강화를 위한 전략을 설명했다.





                     막으로 그는 “왜 AI를 도입하고자 하며             무 전문성을 심화하고 차별화된 경쟁력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지, 데이터              을 확보하게 하는 심화교육을 기업들에
                     는 충분한지, HRD 프로세스와 조직의              게 제공하고 있었다. 교육방식의 경우
                     문제 해결에 AI가 정말 도움이 되는지,             직급별 교육상품, 기초 온라인 교육, 현
                     의미 있는 교훈을 얻을 수 있는지 등을              업 문제해결형 실습, 수준 높은 강사와
                     통찰해 보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콘텐츠 관리 체계 및 피드백 수용 등이
                     두 번째 주제발표자였던 엄형태 팀스파               돋보였다. 이외에도 팀스파르타는 기업
                     르타 본부장은 AI 도입 로드맵을 기성복             들과 사내 데이터 전문가 양성 교육, 전
                     구입(활용), 기성복 수선(자동화), 맞춤            사 AI 활용력을 높이는 해커톤과 경진대
                     정장 주문(커스터마이징), 직접 정장 제             회도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산업계 AI교
                     작(내재화) 순으로 정리한 다음 “임원들             육 발전을 선도하고 있었다.
                     에게 먼저 AI를 교육해야 한다.”라고 힘            이어진 Best Practice 발표에선 먼저 아모
                     주어 말했다. 임원들은 ROI 중심의 판             레퍼시픽 인재원 인재개발팀의 정현영
                     단, 전략 연계형 파일럿 프로젝트 추진,             차장과 이정하 담당이 ‘AX와 DX를 아
                     지속 가능한 AI 투자 판단의 주체인 까             우르는 교육’과 ‘비즈니스 임팩트 강화’
                     닭이었다. 이어서 그는 실무자를 위한               를 고민하며 수립한 교육체계를 공유했
                     AI 교육을 다뤘는데 팀스파르타는 기본              다. 이 체계의 포인트는 수요조사 기반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기초교육, 직              연간 교육계획 수립, 트랙별(AI 리터러


                                                                          AUGUST HRD  73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