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7 - 월간HRD 2025년 8월호
P. 67

SPECIAL report    창간 35주년 기념 HRD스탭 업무수행 실태조사





                     HRD조직의 교육비 변화와 현재 실시               가 달성되는지에 관해 보다 단계적인 평
                     하는 교육들은 바람직한가.                     가가 이뤄져야 하고, 교육을 통해 상황
                     교육비가 전년 대비 유지/상승됐다는 비              이 개선되었는지에 대한 형성평가에 더
                     율이 떨어진 것은 아쉽다. 다만 교육비              초점을 둬야 한다.
                     투자액은 전년도 기업 성과에 따라 달라
                     질 수 있기에 투자액을 직접적으로 비교              HRD스탭들이 개인의 HRD 전문성 향
                     하기 보다는 배정된 금액을 어떻게 성과              상에 투자하는 시간과 활용하는 방법에
                     창출과 연결하여 운용하는가가 중요하                대해서도 제언해주시면 감사하겠다.
                     다. 교육 실시와 관련해선 사내벤처나               HRD스탭들이 전문성을 갖고, 회사 내
                     문제해결형 프로젝트팀 구성 등을 활용               외에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주변과의
                     해서 일을 통한 학습경험의 기회를 높일              교류에 나서는 것은 본인들과 회사는 물
                     경우 교육 효과도 높고 실질적인 행동               론 HRD업계 모두에 무척 중요하다. 관
                     변화가 일어난다. 또한, 개인의 태도는              련해서 회사 차원에서는 HRD스탭들에
                     참여를 통해 문제가 해결되는 것을 경험              게 자율성을 부여하며 HRD스탭들 스
                     할 때 능동적으로 전환된다. 압축하면               스로가 소속된 회사에 맞는 HRD부서의
                     현장 기반 교육경험 기회를 어떻게 설               목표와 기능을 설정하게 한 후 그 목표
                     계/운영할지, 예상되는 교육 효과는 어              와 기능에 적합한 역할과 책임을 다하게
                     떻게 될 것인지를 명확히 정리해서 의사              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HRD활동
                     결정권자를 설득한 다음 교육비를 배정               을 잘하는 기업의 것을 모방한다고 같은
                     받아 교육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효과가 나오지 않는 것은 맥락과 구성원
                                                        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니 자기 회사
                     HRD스탭들의 교육훈련 성과측정 수준               를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HRD스탭
                     은 어떻다고 보시며, HRD학자로서 어              이 가져야 할 사명감이 무엇인지를 깊이
                     떤 제언을 건네주실 수 있는가.                  생각해보고, 우리 회사에 맞는 HRD솔
                     성과측정은 투자 대비 성과로 측정할 수              루션이 무엇인지에 관해 구성원들과 소
                     있는 분야(예: 영업사원교육)와 장기적              통하고 그에 따라 도출된 내용을 적용하
                     으로 성과를 측정할 분야(예: 리더십교              는 과정에 시간을 투자하며 전문성을 높
                     육)가 구분되어야 한다. 다행스럽게도               일 필요가 있다.
                     약 40% 정도의 응답자가 사전진단, 사
                     후 2단계 평가와 3단계 평가를 하고 있
                     어 과거에 1단계 평가만 교육평가로 알
                     고 있던 시절보다는 많이 개선된 것으로               작년에 『월간HRD』가 시행했던
                                                           HRD스탭 업무수행 실태조사
                     보인다. 그러나 여기에서 더 나아가 실
                                                           결과는 우측 QR코드를 통해
                     제 교육목표를 어떻게 잡는지, 그 목표                     확인할 수 있습니다.

                                                                          AUGUST HRD  65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