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 - 월간HRD 2025년 8월호
P. 28
ISSUE
▲ 세계적으로 심리적 피로가 일터 전반에서 사라지기는커녕 확산되면서, 직장인들의 생산성은 점점 낮아지고 있다.
방전된 듯한 번아웃 증상을 경험하고 있 살아내기 위한 핵심 역량으로 규정하며
으며 국내 조사에서도 직장인 1,000명 글로벌 CEO들과 리더들이 조직의 회
중 절반에 가까운 49%가 우울 상태에 복력을 면밀하게 측정해서 높이도록 권
놓여 있었고, 12.4%는 심각한 우울 증 고했고, 올해에는 주요 글로벌 리더의
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터 84%가 ‘우리 조직은 현재와 미래 충격에
에서 정신건강 문제가 급격히 증가한 것 서 벗어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라고
이다. 이런 심리적 피로는 조직 차원의 말했다고 밝혔다. 이는 조직에서 심리적
위기로 번지고 있다. 조직 내 몰입도 저 피로가 단순한 복지 차원에서 다룰 문
하, 잦은 이직, 어려운 업무 회피, 그리 제가 아님을 시사한다. 적절한 회복 체
고 사내 네트워크의 경직으로 나타나고 계가 없다면 인재 유출과 똑같은 교육의
있기 때문이다. 관련해서 영국 킹스 칼 반복으로 인해 막대한 비용이 계속 투입
리지의 연구 결과를 보면 신체적 질병 되는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 따라서 전
으로 인한 결근보다, 우울 같은 정서적 사 차원의 전략적 노력을 통해 조직과
인 문제로 인해 회사에 출근했지만 정 개인의 회복탄력성을 높여야 한다.
작 일은 제대로 하지 못하는 ‘프리젠티
즘(Presenteeism) 현상’이 회사에 더욱 큰 건강한 일과 삶은 어떤 모습일까
손해를 입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경 지금 현대인들 특히 직장인들의 삶은,
제포럼(다보스포럼)에선 2024년에 ‘회복 건강한 일과 삶의 기준에서 매우 멀어
탄력성(Resilience)’을 불확실성 시대를 져 있다. 그렇다면, 건강한 일과 삶은 구
26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