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 - 월간HRD 2025년 8월호
P. 30
ISSUE
일터에서 효과성 높은 리트리트를 활성화하려면
무기력한 자신을 비난하는 행위를 자제하고,
업무 중 틈틈이 미니 브레이크 시간을 가지고,
‘일단 쉼’을 실천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조성해야 한다.
진 반면 두 차례 초점을 전환한 1개 집 첫째, 자기 자신을 비난하는 행위를 멈
단은 집중력을 유지했다. 이처럼 리트리 추는 ‘전환’이다. 구체적으로는 지치고
트는 단순한 휴식의 개념을 넘어, 지속 무기력한 감정을 ‘나의 문제’로 여기는
가능한 학습/성장을 뒷받침하는 ‘회복 것이 아니라, 열심히 살아온 결과로 이
리듬’을 선사하기에 HRD에 필요한 전 해하도록 하는 것이다. 사람이 겪는 스
략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일에 몰입하는 트레스에는 상황 그 자체가 주는 스트레
힘, 변화에 적응하는 힘, 자신의 감정과 스가 있는가 하면, 상황이 종료된 후 나
건강 상태를 이해한 가운데 회복에 집중 의 행동을 스스로 되뇌는 과정에서 받는
하도록 하는 힘이 더욱 중요해진 현실도 스트레스도 있다. 가령 직장에서 번아웃
이를 뒷받침한다. 으로 무기력을 느끼는 것이 1차 스트레
스라면, ‘나는 왜 이렇게 나약할까’라고
효과성 높은 리트리트를 위한 요소는 자문하는 2차 스트레스도 있는 것이다.
무엇인가 이때 리트리트를 활용하면 한발 물러서
리트리트가 단순한 휴식이 아니라 회복 서 지금 생각이 주관적인 판단인지 확인
과 자기 이해를 위한 과정이자 구조라 하도록 하며 자신의 상태를 수용하도록
면, ‘리트리트 워크숍’을 운영한다고 했 해줄 수 있다. 이런 올바른 자기인식은
을 때는 참여자들이 워크숍에서 ‘무엇을 중요한 결정을 갑작스럽게 내리는 것도
경험하도록 할 것인지’가 중요하다. 관련 방지해줄 수 있다.
해서 윤대현 교수는 워크숍 담당자들이 둘째, 일상 속 ‘미니 브레이크’ 설계다.
3가지 키워드를 실천하면 효과적일 것이 무기력을 극복하는 것은 거창한 휴식이
라고 제언했다. 아닌, 하루의 리듬 안에 잠깐의 쉼을 넣
28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