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 월간HRD 2025년 8월호
P. 25
▲ 서은국 교수(좌측)와 엄준하 발행인(우측)은 현대인들이 행복에 관해 어떤 오해를 갖고 있으며, 행복을 올바로 바라보려면 어떤 부분을
이해해야 하는지를 중심으로 심도 있는 대담을 나눴다.
안전지향적 삶을 추구하면서 창의와 혁 치게 행복에 취해 있는 것 같아 우려스
신을 바라는 것은 과욕이라는 뜻이다. 럽다. 그러니 많은 조직이 행복의 본질
엄준하 발행인: 행복한 일터를 향한 기업 을 깊이 학습해보면 좋겠다.
들의 움직임도 진단해달라. 엄준하 발행인: 마지막으로 행복감을 느
서은국 교수: 기업은 수익을 목표로 하는 끼며 살아가기 위한 방법에 관해 말씀
곳인 만큼 행복을 극대화하기 어렵다. 부탁드린다.
그런데도 구성원이 행복한 일터를 추구 서은국 교수: 내 시간에 즐거움을 주는
하는 기업들이 많은데 고위층에 있는 의 경험을 더 늘려야 한다. 그러려면 내가
사결정권자 중심의 수직적 사고에서 비 뭘 좋아하는지를 찾아내야 한다. 다양한
롯된 것 같아 안타까운 마음이다. 그리 경험을 해보며 나라는 사람을 이해하는
고 행복은 마음먹기에 달렸다고 말하는 게 중요한 이유다. 그리고 직장생활을
사람들과 기관들도 많은데 생각을 전환 하고 있다면 다수의 회사가 구성원의 행
하시길 바란다. 행복은 수직이 아니라 복 증진을 위해 설립되지 않았다는 점을
수평이며 원래 걱정이 많고 불안해한다 명심하길 바란다. 참고로 호모 사피엔스
거나, 원래 호탕하고 덜 불안해하는 등 의 약 98%는 불행하지 않고 약간 더 행
사람의 기질에도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 복하다. 그러니 많은 분이 행복에 대한
이다. 무엇보다 저는 우리 사회가 지나 집착에서 벗어나시길 바란다.
AUGUST HRD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