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 - 월간HRD 2025년 8월호
P. 21

‘HRD KOREA 2025’에서 접한 여러 사례와 문제의식은
                                  HRD가 단순히 기술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여러 변화의 본질을 정확히 읽은 다음 조직와 인재의
                                 성장 방향을 새롭게 설계해야 함을 일깨워줬다.










                     특히, 포스코인재창조원은 최근 AI 환경에 부합하는 새로운 인재상 구현과 임직원의
                     자기주도적 성장 지원, 그리고 학습성과 제고에 중점을 두고 있다. 관련해선 기존의
                     DX 교육체계를 WX(Work Transformation) 교육체계로 전환하고, ‘창의적 도전으로 업
                     무 개선과 조직 성과에 기여하는 인재’ 육성에 집중하는 한편, 학습플랫폼을 ‘임직원 자
                     기주도 성장을 위한 일상의 학습놀이터’로 활성화하고자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포스코인재창조원은 실제 행동 변화와 현업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교육 프
                     로그램 개발과 프로그램 평가 체계 개선 등 근본적인 학습성과 향상을 위한 방안
                     도 적극 추진 중이다.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와 고민이 많긴 하지만, 이번 ‘HRD
                     CONFERENCE’를 통해 다양한 실천가들과 소통하며 새로운 인사이트와 실마리를 얻
                     을 수 있었던 점이 매우 뜻깊었다.
                     조직심리학자 벤저민 하디는 저서 『Future Self』에서 “미래의 자신과 얼마나 연결되어
                     있는가에 따라 현재의 선택이 달라진다.”라고 말한다. 이번 ‘HRD KOREA 2025’에서
                     만난 다양한 사례와 문제의식은 HRD가 단순히 기술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변화의
                     본질을 읽고 조직과 인재의 성장 방향을 새롭게 설계해야 함을 일깨워주었다. 그런 만
                     큼 앞으로도 다양한 HRD 人들과 소통하며, 변화의 흐름 속에서 HRD의 본질적 가치
                     와 실천가로서의 역할을 함께 모색할 수 있길 기대한다.




                                 양병호 원장
                                 서울대 심리학과를 졸업했고, 미국 일리노이대학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포스코 입사 후엔
                                 인재혁신실, HR전략그룹, 글로벌HR그룹 등에서 HR 실무를 경험했고 장가항포항불수강유한공사
                                 부총경리, 비서실장, 인사문화실장 등의 보직을 거쳤다. 포스코홀딩스 ESG팀장과 경영지원본부장을
                                 역임했을 때는 조직문화 혁신과 ESG 경영 내재화 등의 굵직한 프로젝트를 이끌었다.

                                                                          AUGUST HRD  19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