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 - 월간HRD 2025년 8월호
P. 18

SPECIAL COLUMN




                 비즈니스 성과 창출의 기제,



                 막연함에서 구체적인 데이터로



                  글_조성준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












                 비즈니스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경험이나 감에 의존하는 의사결정 방식에
                 서 벗어나 구체적인 데이터에 기반한 접근이 필수적이다. 데이터 기반의 접근은 불확
                 실성을 줄여주며, 자원의 효율적인 투입을 가능하게 한다.
                 영화 배급사들을 보면 곧 개봉할 영화의 매출액을 예측하는데, 손익분기점을 넘기지
                 못할 것 같으면 마케팅 광고비를 많이 쓰고, 넘길 수 있다고 판단되면 적게 쓴다. 따라
                 서 예측 정확도는 경영 효율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때, 영화 배급사가 매출액을 예측하는 데 있어 임직원의 과거 경험이나 막연한 ‘감’에
                 의존하면 예측의 정확도가 떨어지고, 시스템화가 불가능하다. 또한, 예측이 틀렸을 때
                 원인을 파악하거나 개선점을 마련하는 작업이 어렵다.
                 한편, 과거에 개봉된 영화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객관적으로 매출을 예측하게 되
                 면, 정확도가 올라갈 뿐만 아니라 시스템화가 되면서 원인 파악도 가능하다. 그러니 매
                 출을 정확하게 예측하면, 마케팅이 꼭 필요한 영화에만 광고비를 집중할 수 있다.
                 그런가 하면 설령 매출 예측이 빗나갔을 경우에도 데이터는 ‘왜’, ‘어떻게’ 예측이 틀렸
                 는지 원인 파악을 가능하게 하여 개선에 기여한다. 예를 들어, 기존 데이터에는 없는
                 멜로, 코미디, SF, 호러, 시대극의 장르가 혼합된 ‘멀티 장르’ 영화라서 매출 예측이 틀
                 렸다는 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기업 구성원의 경우에도 영화 배급사의 사례로 살펴본 데이터 활용 능력, 즉 ‘데이터
                 리터러시’의 증진이 필요하다. 이제 모든 기업 구성원에게 데이터를 활용하는 능력은
                 필수적인 역량이 되었는데, 데이터 공부는 100년 전 문맹 농부의 글 공부, 40년 전 컴
                 맹 직원의 컴퓨터 공부와 유사한 수준으로 ‘데맹자(데이터 문맹자)’에게 데이터 공부는
                 더더욱 필수다.


                 16  HRD MAGAZINE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