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월간HRD 2025년 8월호
P. 17
HRD는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사람을 중심에 둔 조직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실현하는 것이 전략적 출발점.
생 직업능력 제고를 위해 필요한 정보, 기술력, 행동양식 및 문화적·윤리적 성숙도 등
개인에 체화된 능력 및 품성’으로 정의한 바 있습니다. 이는 HRD의 본질이 단순한 지
식과 기술의 전수가 아니라, 개인의 전인적 성장과 조직의 질적 성숙을 동시에 추구하
는 통합적 개념임을 시사합니다. 또한, ATD는 최근 HRD의 핵심개념 중 하나인 ‘역량’
을 competence에서 capability 중심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이는 고정된 기술이 아닌
**변화에 적응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역동적 가능성(capability)**을 강조하는 시대적
흐름을 반영합니다.
결국 HRD란 단지 교육이나 연수가 수행된다고 성립되는 개념이 아니라, 조직적 맥락
과 인간 중심성, 그리고 성과 지향성이 함께 충족되어야 비로소 실현되는 종합적 활동
입니다. 한국의 HRD는 이제 기업교육, 직업능력개발, 평생학습을 하나의 유기적 생
태계로 엮어내고, 실천과 이론, 사람과 조직, 교육과 경영을 통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
야 합니다.
HRD의 컨센서스 형성은 단지 ‘합의’를 위한 합의가 아니라,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사
람을 중심에 둔 조직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실현하는 전략적 출발점입니다. 앞으로 우
리 모두가 같은 언어로 말하고, 같은 방향을 향할 때, HRD는 미래를 여는 핵심 동력
이 될 것입니다.
엄준하 발행인
엄준하 『월간HRD』 발행인은 국내 인적자원개발 발전을 고민하고 연구하며 실천하는 HRD 선각자다.
HRD를 통한 사람중심경영과 사람 사는 세상을 실현하고자 한다. 인력개발학박사로서 사단법인
한국HRD협회 이사장, 인생경영학교 교장을 맡고 있다.
AUGUST HRD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