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8 - 월간HRD 2025년 8월호
P. 98

IN-HOUSE COACHING






























                 ▲  조직에서 코칭은 진정성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구성원들의 “내가 잘할 수 있는 방향에 관해 이야기해달라.”라는 기대에 응답할 수 있
                  어야 한다.






                 여기에 있다. 이는 단순한 제도 운영이              신뢰를 쌓고, 그 신뢰가 구성원의 자발
                 아니라, 구성원이 주도적으로 자신의 이              적 행동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야기를 꺼낼 수 있는 환경을 설계한 전              코칭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세 번째 조
                 략적인 시도다.                           건은 ‘가능성에 응답하는 피드백 설계하
                 코칭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두 번째 조              기’다. 특히, 새로운 세대일수록 이 같은
                 건은 ‘성장 중심의 언어로 바꾸기’다. 코            대화 방식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지난
                 칭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질문 하나에도               2023년 Gallup 조사에 따르면, MZ세대
                 방향성과 태도가 담겨야 한다. 예컨대               의 75%가 정기적인 피드백보다 즉각적
                 ‘왜 그랬어?’보다는 ‘앞으로 어떻게 해볼            이고 실질적인 대화를 선호한다고 답했
                 까?’를 묻는 질문은 구성원을 평가의 대             다. 여기에서 중요한 건, “더 자주 이야
                 상이 아닌, 해결의 주체로 전환시킨다.              기해달라.”는 요청이 아니라, “내가 잘할
                 실제로 이런 피드포워드(feedforward)          수 있는 방향에 대해 이야기해달라.”는
                 방식은  동기부여와  자율성을  높이는              기대가 담겨 있다는 점이다. 이 기대에
                 데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으며                진심으로 응답할 수 있어야, 조직은 구
                 (Goldsmith, 2010), 리더에게 매우 유익      성원의 신뢰와 몰입을 이끌 수 있다.
                 한 대화법이다. 지적보다 제안을 통해               코칭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네 번째 조


                 96  HRD MAGAZINE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