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7 - 월간HRD 2025년 8월호
P. 97

코칭은 조직 구성원이 자기 자신에 관해 말할 수 있고,
 코칭 효과에 대한 기대와 제언           그런 경험 속에서 삶의 의미/방향을 찾아갈 수 있게 돕는다.













                     하는 방식 자체를 바꾸는 도구로 주목받              삼성서울병원의 사내코칭이 안정적으로
                     고 있다. 구성원이 자신의 일과 경험을              운영되는 것도, 사내코치들이 조직과 피
                     말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 그 속에서 삶            코치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코칭
                     의 의미와 방향을 찾아갈 수 있게 돕는              스킬을 적절히 결합해서 신뢰를 쌓아온
                     구조라는 점에서 코칭은 기술이라기 보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기반은 외부
                     다는, 현시대의 조직이 선택할 수 있는              코치들이 파악하기 어려운 팀 간 이슈,
                     유연하면서도 깊이 있는 ‘전략’이다.               직무 특성 등에서 비롯된 문제점을 사내
                                                        코치들이 보다 섬세하게 다룰 수 있는
                     전문가 조직에서 코칭은 구체적으로 어               원동력이다.
                     떻게 작동하는가
                     병원처럼 다양한 전문 직군이 협업하는               코칭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조건
                     조직에서는 코칭이 단순한 대화 기술로               코칭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첫 번째 조
                     는 작동하지 않는다. 때로는 코칭 대상              건은 ‘코칭이 작동하는 환경 설계하기’
                     이 코치보다 더 높은 전문성을 지니거               다. 코칭이 일회성 개입이 아닌 일하는
                     나, 조직의 문화와 흐름을 더 깊이 이해             방식과 대화 문화로 확고히 자리를 잡기
                     하고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이때              위해서는, 직장생활이라는 삶의 여정 전
                     코칭이 피상적인 질문이나 일방적인 조               반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어야 한다. 무엇
                     언에 머무르면, 오히려 거리가 생긴다.              보다 중요한 것은, 말을 꺼낼 수 있고,
                     그래서 코치에게는 스킬을 넘어, 조직과              들어줄 수 있다는 조직의 신뢰다. “제 의
                     사람에 대한 통합적 감각이 필요하다.               견을 말씀드려도 될까요?”라는 말이 자
                     즉, 조직의 역사, 직무 특성, 생애주기,            유롭게 오가는 회의라면, 이미 그 조직
                     세대 감수성, 인사 제도 등 조직과 구성             은 코칭의 언어를 구사하고 있는 셈이
                     원의 ‘맥락’ 전반을 이해하는 힘이 코칭             다. 삼성서울병원이 리더십코칭, 커리어
                     의 신뢰를 만드는 시작점이 된다. 결국              코칭, 미니코칭을 상시 운영하는 이유도


                                                                          AUGUST HRD  95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