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9 - 월간HRD 2025년 3월호
P. 99
팀 코칭을 기업의 변화와 혁신 촉진제로 활용하려면
기업 내 팀 코칭 활성화를 위한 방안 조직 목표와 팀 코칭의 정렬, 신뢰 기반 팀 환경 조성,
내외부 코칭의 균형, 조직의 제도 및 시스템과의 연계,
지속가능한 문화 정착을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반으로 목표 달성에 집중하는 접근이 필 고, 팀 내 피드백 문화를 정착해야 하며,
요하다. 팀 코칭은 조직이 보유한 자원 구성원들이 불편함 없이 각자의 의견을
과 강점을 활용하여 ‘어떤 결과를 창출할 눈치보지 않고 표현할 수 있도록 심리적
것인가?’를 탐색하고, 팀이 이 질문에 대 안전감을 조성해야 한다.
한 해답을 스스로 실행할 수 있도록 돕
는 역할을 해야 한다. 이를 통해 조직은 내부 코칭과 외부 코칭의 균형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도 유연하게 대응 기업이 팀 코칭을 활성화하는 과정에서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된다. 고려해야 할 또 하나의 요소는 내부 코
칭과 외부 코칭의 균형이다. 외부 전문
신뢰 기반의 팀 환경 조성 가 코치는 조직의 기존 관점을 벗어난
팀 코칭의 성공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이지
소 중 하나는 팀 내 신뢰 수준이다. 신 만, 내부 팀 코치는 조직의 문화와 시스
뢰가 부족한 팀에서는 피드백이 방어적 템을 깊이 이해하고 장기적인 코칭 환경
으로 받아들여지거나, 팀원들이 적극적 을 구축하는 데 강점을 가진다. 내부 팀
으로 참여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신 코치가 효과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뢰 기반의 팀 환경이 조성될 때 팀원들 조직 차원의 지원과 명확한 역할 정의가
의 심리적 안전감이 향상되며, 이는 코 필요하다. 특히, 내부 코칭이 단순한 형
칭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요인이 된다. 식적 역할 수행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팀 코칭이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 성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팀 리더의 코
는 팀원들이 각자의 생각과 관점을 자유 칭 역량 강화, 조직 내 코칭 커뮤니티 구
롭게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축, HR부서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수적
한다. 이를 위해 기업은 팀 리더가 코칭 이다. 이처럼 내부 코칭과 외부 코칭을
의 핵심 원칙을 실천하도록 지원해야 하 적절히 병행하면 기업은 코칭의 단기적
MARCH HRD 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