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6 - 월간HRD 2025년 3월호
P. 96
BRAIN BASED COACHING
▲ 보이는 것을 향한 인류의 열망이 커질수록 보이지 않는 가치를 볼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한 열쇠가 명상이다.
연구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는 것은 다행 Reduction) 프로그램을 개발한 MIT 의
스러운 일이다. 과대학의 존 카밧진(Jon Kabat-Zinn)
교수 덕분이다. MBSR은 마음챙김에 근
현대인에게 쉽지 않은 ‘마음챙김’ 거한 스트레스 완화라고 부른다.
‘마음챙김’은 통상 산스크리트어의 스므 하지만, 마음챙김은 엄밀히 말하면 명상
리티, 팔리어에서의 싸띠(sati) 등에서 유 의 한 종류이며, ‘알아차림’ 차원에서 스
래하는 ‘매 순간 순간의 알아차림’이라는 트레스 완화에 초점을 둔 명상의 한 종
의미를 내포한다. 요가의 명상 수행이나 류로 동양 명상 전체를 대변하는 것은
불교의 참선과 같은 것에 뿌리를 둔 단 아니라는 점도 분명하다.
어로 언급되며, ‘마음챙김’은 ‘마인드풀
니스(Mindfulness)’에 대응하는 순우리말 마인드풀니스, 요가 그리고 K-명상
단어로 해석되고 있다. 서구에서는 ‘명상’ 보다는 ‘마인드풀니스’
국제적으로 ‘마음챙김’ 단어 가 더 일반적이고, ‘요가’는 보통 동양의
가 유명해지게 된 계기는 1979년 심신수련을 통칭하는 단어로 알려져 있
MBSR(Mindfulness-Based Stress 다. 그런데 요가의 나라 인도 대학생들
94 HRD MAGAZ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