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0 - 월간HRD 2025년 3월호
P. 90

MENTAL WELLBEING





                 뇌과학적 마음처방전

                 불행의 쳇바퀴, 반복강박





                 글_사공정규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의학박사










                                                    로이트가 제시한 정신분석학 용어로, 과
                  글 싣는 순서
                                                    거의 고통스러운 경험이 자신을 불행으
                  5. 아동기 감정 양식                      로 몰아넣음에도 불구하고, 그 경험에서
                  6. 불행의 쳇바퀴, 반복강박                  배우지 못한 채 동일한 행동을 반복하
                  7. 나를 성장시키는 힘, 열등감                는 것을 의미한다. 앞의 사례는 성장 과
                  8. 마음의 영사기, 투사                    정에서 겪은 불행이 성인이 되어서도 되
                                                    풀이되는 경우이다. 이는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무의식 속에 깊이 자리 잡은 패
                                                    턴 때문이다.
                 피하고 싶은 삶이 반복된다고 느껴본 적              우리는 왜 자신을 고통과 불행으로 이끄
                 이 있나요? 예를 들어, 아버지가 알코올             는 선택을 반복하는 것일까?
                 중독자였고, 알코올 중독자인 남편과 결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어린 시절까지
                 혼해 이혼한 여성이 다시 재혼을 한다               는 스스로 선택할 수 없는 환경에 놓인
                 면, 또다시 알코올 중독자인 배우자를               다. 성장 과정에서 경험한 세상에 본인
                 만날 가능성이 높다. 그녀는 아마도 ‘운             도 모르게 익숙해지고, 그 익숙함이 정
                 이 지독히 나빠서’ 혹은 ‘팔자가 사나워             서적 안정감을 준다. 그리고 그것이 행
                 서’ 그런 남자를 만났다고 생각할 것이              복이든 불행이든 상관없이, 익숙하기 때
                 다. 하지만 이는 단순한 운명의 장난이              문에 마음이 편하다고 느낀다.
                 아니다. 오히려, 우리의 무의식이 만들              결국, 성인이 되어서도 무의식적으로 ‘익
                 어낸 선택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                숙한 편안함’을 선택하게 된다. 즉, 불행
                 사람에게는  ‘반복강박(repetition            하더라도 익숙하기 때문에 다시 그것을
                 compulsion)’이라는 것이 있다. 이는 프        찾아가는 것이다.


                 88  HRD MAGAZINE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