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4 - 월간HRD 2025년 3월호
P. 84

PERFORMANCE STRATEGY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는 사람관리 전략

                 스타 인재의 관리





                 글_김안드레아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조직성과를 결정하는 스타 인재는 주로 담당하는 업무나 함께 일하는 사람
                    들 때문에 다른 직장으로 이직한다. 이를 막으려면 스타 인재가 직장 생활과
                    자신의 커리어에서 의미를 느낄 수 있도록 조직과 사회에 파급력이 클 수
                    있는 직무를 맡기고 훌륭한 동료나 상사와 일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특히, 전략적 우선순위가 높은 현안에 스타 인재들로 구성된 스타 팀을 투입
                    하여 효과적으로 조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HR담당자와 CHRO가 전
                    략적으로 가치 있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글 싣는 순서                           S등급과 A등급을 받았던 상위 20% 고성
                                                    과자들의 자발적 이직률은 총자산수익
                  1. 스타 인재의 영향                      률과 자기자본수익률을 감소시키는 것
                  2. 스타 인재의 영입                      으로 나타났는데, 이처럼 스타 인재를
                  3. 스타 인재의 육성                      잔류시키는 것은 스타 인재를 확보하는
                  4. 스타 인재의 관리                      것만큼 중요하다.
                                                    미국 포츈(Fortune)지가 매년 발표하
                                                    는 미국의 가장 일하기 좋은 회사(Best
                 조직 내부에서 육성하거나 경쟁사로부                Companies to Work For) 순위에서
                 터 영입하여 스타 인재를 확보하였다면,              2010년 전후로 자주 1위에 올랐던 구글
                 이제 스타 인재를 통해 기대했던 조직성              (Google)은 당시 자발적 이직률이 2% 내
                 과를 얻을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 우             외로 매우 낮은 편이었다. 그러나 구글
                 리나라 155개 기업으로부터 수집한 자              은 비록 극소수지만 소중한 인재가 다른
                 료를 분석했던 연구 결과[1]를 살펴보면,            회사로 떠나는 것을 막기 위해 피플 애


                 82  HRD MAGAZINE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