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1 - 월간HRD 2025년 3월호
P. 81
▲ 이상욱 한양대학교 교수는 생각하는 능력이야말로 동서고금을 막 ▲ 김성우 캣츠랩 연구위원은 AI의 파고에 휩쓸리지 않기 위한 교수
론하고 인간의 경쟁력임을 강조했다. 학습 윤리 준거점을 짚어줬다.
어떤 어휘와 문법을 사용해야 하는지 고
민하는 인지적, 정서적 노동이 사라지는
위험성을 경계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넷째, ‘가보지 않은 길 강요하지 않기’
다. 교수자들은 자신들이 먼저 AI를 여
러 각도에서 활용해본 뒤 학습자들에게
활용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는 뜻
이다. 다섯째, ‘비언어에서 언어로의 전
환 강조하기’다. 김 위원은 “데이터의 조
합과 변형만큼 데이터로 존재하지 않았
▲ 손화철 한동대학교 교수는 좋은 세상을 만드는 것이 전문성의 목
던 삶을 이야기와 지식으로 만드는 일의 적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치가 크다는 것을 주지시켜야 한다.”
라고 말했다. 여섯째, ‘새로운 기술의 마
테효과 경계하기’다. 마테효과는 가진 자 곱째, ‘기술을 넘어 인간과 세계 보기’다.
는 더 받고 못 가진 자는 빼앗기는 현상 AI는 인간의 더 나은 삶을 위한 도구임
이다. 김 위원은 “평등을 위한 기술을 지 을 인지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여덟째,
향하지 않으면 역량이 떨어지는 학습자 ‘보편적 학습설계를 위한 AI’다. 근본적
들은 두려움과 짜증을 느끼며 교육과 학 으로 각기 다른 학습자들을 위한 맞춤형
습을 거부하게 된다.”라고 경고했다. 일 교육, 참여도와 몰입도 제고가 사례다.
MARCH HRD 7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