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5 - 월간HRD 2025년 3월호
P. 75

▲  좌측부터 김진실 원장, 이병욱 교수, 박동열 본부장, 송달용 교장이 세미나의 기조강연과 주제발표에서 다뤄진 내용을 중심으로 종합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를 평가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내 정주화 지원이다. 다섯째, 모든 사람
                     라고 강조했다. 이어서 그는 “현장 밀착             에게 양질의 직업교육과 평생학습 참여
                     형 교육과 훈련이 확산돼야 지·산·학               기회 부여다. 그의 제언은 AI 발전으로
                     모두에서 유능한 인재를 많이 확보할 수              인해 더욱 중요해진 사람만의 역량 개발
                     있다.”라고 제언했다. 다음으로 박동열              과 발현, 직업교육 규모와 기능의 최적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기획조정본부장은                 화, 국가/사회/기업/대학/학습자의 공동
                     “직업교육은 사회의 건강성 회복 측면에              책임과 성장을 아우르고 있었다.
                     서 더욱 강조될 것.”이라고 내다보며 미             이상과 같이 국가미래직업교육포럼은
                     래 직업교육 패러다임의 키워드는 무엇               세미나를 통해 국가적 차원에서 직업교
                     이 돼야 하는지 설명했다. 첫째, 인재 양            육의 중요성을 재조명했고, 미래 직업
                     성과 함께 인간다운 삶과 일에 대한 교              교육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을
                     육적 가치 공유다. 둘째, 직업교육에 대             모색했다. 거대한 변화의 물결은 실질적
                     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다. 셋째, 일-             인 역량을 무기로 헤쳐가야 한다. 그런
                     학습-삶이 연계된 직업교육 거버넌스                만큼 국가미래직업교육포럼이 앞으로
                     구축이다. 넷째, 산학협력 기반 지역 내             직업교육의 위상을 높여 역량이 인정받
                     기업 경쟁력 제고와 지역 인재의 지역               는 사회를 열어주길 기대한다.


                                                                           MARCH HRD  73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