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9 - 월간HRD 2025년 3월호
P. 49

HRD강사를 통해           성과를 위한 지식작업자의 다섯 가지 핵심역량

 우리의, 우리에 의한, 우리를 위한
 인재를 육성하고  과제를 해결한다.
                     기획·취재·정리: HRD 편집부



                     정보화 사회를 넘어 디지털·AI 시대가 펼쳐진 지금, 기업의 모든 구성원은
                     수많은 정보, 지식, 기술을 업무에 올바로 사용하고, 그로써 생산성을 발휘하는
                     ‘일 잘하는 지식작업자’로 거듭나야 한다. 그러려면 피터 드러커가 짚어준, 성과
                     창출의 기반이자 누구든 배울 수 있는 ‘다섯 가지 핵심역량(시간관리, 기여,

                     강점활용, 우선순위 결정, 의사결정)’을 꼭 갖춰야 하고, 또 실행해야 한다. 이런
                     자기경영은 수치적 성과 이상의 사람다움도 아우르기에 기업과 구성원은
                     ‘Good to Great’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월간HRD』는 다섯 가지

                     핵심역량을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PARTⅠ 성과 창출의 기제인 다섯 가지 핵심역량 통찰


                      PARTⅡ  다섯 가지 핵심역량 향상을 위한 질문과 과제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