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3 - 월간HRD 2025년 3월호
P. 43
▲ 이상열 원장(앞줄 가운데)과 인재개발원의 HRD스탭들은 자신들의 업무에 자부심을 느끼며 건강보험 제도를 지키는 건보인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공공부문 인재개발원의 미래를 어떻게 우리나라 HRD스탭들을 위한 제언과 당
보고 계신가. 부의 말씀 부탁드린다.
공공기관들은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도 HRD스탭의 성과는 임직원들에 대한 애
미션과 비전 달성을 위해 HRD에 대한 정과 관심, 그들의 필요에 대한 호기심
투자와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 우리 역 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시 교육 기획, 이러닝 콘텐츠 개발, 영상 임직원들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
전문가들 영입을 통해 더 전문적이고 효 것을 어떻게 하면 교육으로 해결해줄지
율적인 교육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그 끊임없이 고민해야 한다. 우리 인재개발
러나 HRD스탭들 다수가 순환보직으로 원 HRD스탭들은 자신들의 역할을 ‘건
배치된 행정직원들이어서, HRD 전문성 강보험 제도를 지키는 건보인의 성장을
강화와 전수는 중요한 과제다. 또한, 공 지원하는 일’로 정의하며, 이 역할에 남
공부문 인재개발원은 지속적인 협력 체 다른 자부심을 갖고 있다. 이렇게 HRD
계를 구축해서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스탭은 누군가의 성장을 돕는 매우 보람
교육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관련해서 되고 가치 있는 직무를 수행하는 존재
우리는 매년 원주 혁신도시 내 공공기관 다. 그러니 책임감과 사명감을 잃지 말
HRD조직 협의체를 주관하며 우수 교 고 전문성을 끊임없이 확장해야 한다.
육 프로그램 공유, 강사진 교류, 교육기 그래야만 임직원의 성장과 조직의 발전
획·운영 노하우 공유 등을 수행한다. 에 기여할 수 있다.
MARCH HRD 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