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 - 월간HRD 2025년 3월호
P. 33
‘밸류 드리븐(Value Driven)’은 구성원들이
핵심가치에 공감하며 그것을 실천하도록 하고,
몰입 지향형 안정감과 소속감도 느끼도록 하며
기업의 도전과 혁신 지수를 높여줄 기제가 될 수 있다.
위한 교육을 반복하는 행태에서 벗어나 을 어떻게 실행해야 개선이 될지를 파악
는 데도 큰 도움을 줄 것이다. 하는 것이 모니터링의 핵심입니다.”라고
넷째, ‘마스터 플랜 수립’이다. 가치 기 짚어줬다.
반의 조직문화를 확산하는 계획을 수립
하는 단계다. 핵심은 구성원의 눈높이에 불안한 상황 속에서 인재들이 갈구하는
맞는 확산 방식 구축이다. 관련해서 네 것은 성장감과 소속감이다
모파트너즈POC는 새로운 체계에 대한 인재들에게 잔류는 그저 회피만을 의미
인지를 강조하며 인식(이해)과 수용(공 하지 않는다. 새로운 고민의 시작이다.
감)을 높이고 실천을 끌어내는 교육 프 더 나은 기회를 찾아 그간 자유롭게 이
로그램을 개발했고, 이를 통해 내부 구 직을 선택해 왔지만, 더 이상 마음에 드
성원의 팬더밍(팬덤 만들기)이 만들어 는 곳으로 쉽게 이동할 수 없는 현실과
지도록 하며 기업들의 가치 기반 새로운 마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 번
모멘텀 창출을 지원하고 있다. 입사해서 회사와 평생을 함께한다는 개
다섯째, ‘Monitoring 및 개선’이다. 이 단 념이 희미해진 지금의 시대에서 구성원
계에서 네모파트너즈POC는 ‘직원경험’ 들은 조직에 대한 애정과 소속감을 느낀
과 ‘실천/실행’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경험이 적다. 이런 측면을 고려한다면
기업을 진단한다. 초기에는 비전, 핵심 밸류 드리븐은 가치를 중심으로 구성원
가치, 일하는 방식 등에 대한 구성원들 들에게 회사와 함께 성장한다는 확신을
의 경험을 점검하고, 이후에는 신규입사 심어줘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
자를 대상으로 진단 작업을 시행한다. 서 HRD스탭들은 ‘우리는 이런 가치를
관련해서 김 대표는 “분석하고자 하는 추구하는 조직이며, 당신의 일이 우리의
단위를 세분화해서 어떤 조직에서 무엇 가치를 실현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MARCH HRD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