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8 - 월간HRD 2025년 3월호
P. 118
PRACTICE
개발 방향정립, 경력개발 노하우 습득, 의 경력개발 코치가 개입해서 여러 검사
회사 내 관계형성/소통 노하우 습득 등 와 툴을 활용하며 멘토가 멘티의 흥미와
을 적었는데 경력개발센터는 이와 관련 선호를 정밀하게 탐색해서 방향성을 제
된 경험/정보를 가진 멘토들을 매칭시켰 시할 수 있게끔 지원했다. 아울러 멘티
다. 기간은 작년 3월부터 7월까지 약 4 들은 1달에 1번 비대면으로 만나 멘토링
개월이었는데 경력개발센터가 제공하는 인사이트를 공유했고, 관련해서 다양한
활동들과 각 팀의 자율적인 활동이 조화 내용을 토의하고 발표했으며, 피드백을
를 이루도록 했다. 세부 여정은 ‘기대감 나눈 뒤 코칭 가이드를 제시받으며 멘토
형성’, ‘신뢰 형성’, ‘성장방향 탐색’, ‘성 링 계획을 점검했다. 이렇게 여러 프로
장계획 실행’, ‘성장경험 회고’ 순으로 설 세스를 밟으며 멘토링이 마무리된 후에
계했고 먼저 오리엔테이션을 열었는데 는 수료식이 열렸다.
경력개발센터는 멘토들을 먼저 모아 멘 수료식에선 멘토링 내용을 바탕으로 팀
토링 정의, 멘토 역할, 멘토의 태도 등을 별로 성장 스토리를 작성해서 공유했
강의했다. 이어서 멘토들과 멘티들이 만 다. 이 자리에서 멘토는 여성 리더의 경
나 라포를 형성하는 팀워크 활동과 멘토 력개발 계획과 방안에 관해 의견을 제안
링 계획을 수립하는 워크샵을 진행시켰 했고, 멘티는 멘토링을 통해 얻은 인사
다. 이후 본격적인 멘토링이 시작됐다. 이트와 이후 경력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경력개발센터는 팀들에게 최소 월 1회, 아울러 멘토와 멘티 모두 지속적인 네트
총 3회 이상의 활동을 주문했다. 초기 워킹 형성 방안에 관해 논의했다. 멘토
단계에선 멘토-멘티 간 친밀감과 심리 와 멘티가 그간의 감사를 표현하는 자리
적 안정감을 형성하고, 신뢰를 바탕으로 도 마련됐는데, 멘토는 격려의 선물을
적극적 공감대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전달했고 멘티는 편지를 전했다. 여기에
대면 활동 촉진 미션을 부여했다. 미션 더해 참여자들은 멘토가 멘티를 소개하
은 장소와 활동을 무작위로 뽑아 ‘( )에서 고, 활동 경험과 소감을 전하는 인터뷰
( )을 함께 하겠다’라는 문장을 완성하고 영상도 함께 관람했다. 수료식 말미에는
실행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멘토와 CEO와의 간담회를 통해 멘토링 성공
멘티는 자유롭게 만났고, 비슷한 지역 사례가 공유됐으며, 축하와 격려의 말이
에서 활동하는 다른 팀과도 만나며 네트 전해졌다.
워크를 확장했다. 이런 교류 속에서 멘 윤상현 경력개발센터장은 “경력개발은
티들은 개인의 성장 방향 설정 및 실행 변화를 마주하겠다는 개인의 의지에서
을 통한 자신감 향상을 목적으로 멘토들 비롯되는데 이번 멘토링에서 멘티는 경
에게 커리어 코칭을 받으며 실천 과정에 력개발센터가 제공하는 여러 교육에 적
서 발생하는 시행착오를 해결해 나갔다. 극적으로 참여했고, 전문성 개발을 위한
멘토가 한계를 느낄 때는 경력개발센터 자격증 취득에도 나섰습니다.”라고 설명
116 HRD MAGAZ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