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1 - 월간HRD 2025년 3월호
P. 111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




























                     ▲  제주평생교육장학진흥원의 런케이션 사업 참여자 단체사진. 배움과 휴양을 결합한 런케이션은 몰입도 높은 교육과 자연·문화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





                     사건 유적지 및 제주의 생태를 체험하               kr)이라는 온라인 정보 플랫폼을 활용한
                     도록 한 ‘제주의 역사와 문화, 생태 기             상시 강사풀을 운영함으로써 우수한 강
                     행 런케이션’으로 참가자들에게 높은 평              사를 체계적으로 확보하고 있다.
                     가를 받았다. 교육의 효과성 향상을 위              현재 제주는 디지털, 에너지, 생태 중심
                     한 노력을 보면 교육 참여자들을 대상으              대전환의 시대를 맞았다. 저출생·고령
                     로 사업 운영 전반에 대한 만족도 평가              화, 인공지능(AI)과 디지털 기기 사용 보
                     및 의견 수렴 등을 시행하며 향후 개선/             편화로 인한 세대 정보 격차 증가 등의
                     발전 방안을 모색한다. 일례로, 작년 하             문제가 대표적인데 이는 중장년 및 노년
                     반기에 진행했던 ‘제주가치, 공감 런케              세대를 위한 맞춤형 평생교육 구현, 사
                     이션’ 사업에선 전반적인 만족도(98.1%,           회 변화에 대한 이해도 및 디지털·미디
                     55명 대상) 및 재참여 의도(96.2%, 55명        어 리터러시 향상을 요구한다. 이런 흐
                     대상), 추천 의사(98.1%, 55명 대상) 분        름에 맞춰 진흥원은 수요자 중심 대응체
                     야에서 만족도가 높았음을 확인했다. 또              계를 마련하여 다양한 경로의 평생학습
                     한, 진흥원은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강사              에 대한 사회적 인정 시스템을 구축하고
                     진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열어 이들의 다              자 하며, 도민의 평생학습 접근성을 더
                     양한 아이디어를 경청하고 있고, 제주평              욱 높여서 제주가 ‘교육’으로 지속성장하
                     생교육다모아정보망(www.damoa.jeju.          는 도시가 되도록 공헌하고자 한다.


                                                                          MARCH HRD  109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