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5 - 월간HRD 2025년 3월호
P. 105

율/저비용 생산체계를 모색하고 있다.               GPT-4 기반 사내 챗봇을 도입해 방대
                     포스코DX는 제철 공정에 특화된 대규               한 리서치 보고서와 상담 메모를 요약/
                     모 언어모델인 ‘P-GPT’를 개발하여 용            분석함으로써 자산관리 어드바이저들이
                     선 생산 일정 최적화 등에 적용하고 있              주당 10시간-15시간을 절약하고 더 많
                     고, LG전자는 생산 공정 레시피에 AI를            은 고객 상담에 집중할 수 있었다고 발
                     적용해 불량률을 크게 줄였다. 이처럼               표했다. 특히, 금융권은 데이터 자체가
                     제조업 전반에서 생성형 AI는 스마트팩              정형화되어 있으므로 AI 학습에 굉장히
                     토리를 넘어 사무·기술 인력의 의사결               적극적이다. 블룸버그는 금융 도메인에
                     정까지 지원하며 생산 효율성과 품질 경              특화된 ‘BloombergGPT’를 훈련시켜 금
                     쟁력을 높여주고 있다.                       융뉴스 분류, 질의응답 등에서 기존 모
                     금융업에선 고객 응대 자동화, 리스크               델보다 뛰어난 성능을 확보했다 . 우리나
                     분석/사기 탐지, 금융문서 처리 분야에              라도 작년 12월, 금융위원회가 공식적으
                     서 생성형 AI 활용이 두드러진다. 먼저             로 금융권의 생성형 AI 활용을 적극 지
                     고객 서비스 측면에서, 영국 NatWest은           원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처럼 금융
                     행은 IBM 왓슨 기반의 챗봇 ‘코라(Cora)’        업에서 생성형 AI는 고객경험 개선과 내
                     에 생성형 AI를 접목하여 고객에게 보              부 운영 효율화 측면에서 큰 가치를 제
                     다 대화형이고 개인화된 금융 상담을 제              공한다. 매킨지 설문조사에서도 80%의
                     공한다 . 이 챗봇은 은행의 다양한 내부             금융 리스크 담당 임원이 향후 1년 내
                     데이터에 접근해 예금, 대출부터 채용               생성형 AI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문의까지 폭넓은 질문에 응대하며, 인               다양한 사례와 활용방식으로 미루어봤
                     간 상담원처럼 맥락에 맞는 대화를 수               을 때 우리가 숫자 데이터를 다룰 때 엑
                     행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보험              셀을 열고, 발표 자료를 만들 때 파워포
                     업계에선 현대해상 등이 AI로 보험사기              인트를 키는 것처럼, 업무를 시작하면
                     의심사례를 자동 선별해내어 조사 인력               자연스럽게 생성형 AI 서비스를 동작시
                     이 인지하지 못한 사례까지 추가 적발하              키는 날이 얼마 남지 않은 것 같다. 이러
                     는 등 리스크 관리 효율이 향상되고 있              한 대격변에 맞춰, HRD에선 우리 임직
                     다 . 사내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원들의 AI 활용력을 높이기 위한 준비를
                     적용한 사례도 있다. 미국 모건스탠리는              해야 할 것이다.





                                 김지훈 대표
                                 AI, Data 기반의 DT 전문 교육과 컨설팅을 수행하는 회사인 스코프랩스의 대표. 한양대학교에서
                                 정보시스템학을 전공했고, KAIST에서 AI로 석사 학위를 마쳤으며, 티맥스과 AI 스타트업에서 AI 연구와
                                 특허 출원 등을 수행했다. 현재 금융, 제조 대기업의 AI 교육과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다.

                                                                          MARCH HRD  103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