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0 - 월간HRD 2025년 3월호
P. 100
TEAM COACHING
▲ 한국에서 팀 코칭이 올바로 정착하려면 코치들이 팀 빌딩, 팀 퍼실리테이션과 팀 코칭을 명확히 구분해서 고객에게 본질적인 팀 코칭을
제공해야 한다.
효과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조직문화 변 필수적이다. 따라서 팀 코칭을 효과적으
화까지 유도할 수 있다. 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조직의 구
조와 시스템을 파악하고, 팀의 협력 방
조직의 제도 및 시스템과의 연계 식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하다.
팀 코칭이 조직 내에서 효과적으로 정착 코치는 이러한 조직적 요소를 충분히 이
되기 위해서는 조직의 구조, 제도, 시스 해한 후, 팀 코칭 과정에서 유연하고 중
템, 문화적 요소를 반영하는 맞춤형 접 립적인 개입을 통해 팀이 조직 내에서
근이 필요하다. 조직의 운영 방식이 기 조화롭게 기능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
능 혹은 사업 중심인지 아니면 매트릭스 다. 제도, 시스템, 문화적 연계성을 고려
조직인지 등 각각의 구조에 따라 팀 코 한 팀 코칭이 실행될 때 팀 간 협력이 원
칭의 협업 방식과 팀 다이내믹스가 달라 활해지고 성과가 극대화된다.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중심 조직
에서는 부서 간 협업보다는 기능별 최적 지속가능한 코칭 문화 정착
화가 중요한 반면, 매트릭스 조직에서는 팀 코칭이 일회성 개입에서 끝나지 않고
다중 보고 체계를 고려한 팀 간 조율이 조직 내 지속가능한 성장 도구로 자리
98 HRD MAGAZ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