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4 - 월간HRD 2023년 12월호
P. 84
LIVE JOURNAL Ⅰ
▲ 학술대회에서는 HRD 관계자들이 연구를 통한 논문을 발표하고(좌측), 패널토론을 통해 거시적인 HRD 통찰력이 공유됐다.(좌측)
해서 그것을 바탕으로 강사들이 학습자 “올해 우리 조직에서 의미 있는 변화는
를 피드백해주는 작업이 가능하다.”라고 무엇이었는지, 내년을 위해 고통을 감내
“xAPI(경 하더라도 하나만 바꿔야 한다면 그것은
험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활용해 무엇인지, 변화를 실행하기 위해 하나만
서 6개월 동안 연구한 끝에 AI 기반 러 가능하다면 어떤 행동을 선택할 것인지
닝 플랫폼을 만들었고 이곳에서 학습자 꼭 질문해보길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들이 배움을 얻고 변화하는 궤적을 개인 박철용 전무는 “회사의 업을 알아야 하
별로 저장한 다음 맞춤형 큐레이션을 해 고, 현장에 자주 가봐야 하고, 디지털 전
주고 있다.”라고 소개했다. 아울러 그는 환이 중요하다면 무조건 해본 다음 관련
“AI를 활용해서 코딩도 해보고, 웹툰도 교육을 받아야 하는 이유를 제시해야 하
조금 고, 유연하게 사고해야 하며, 회사와 국
씩 AI를 중심에 두고 HRD 시스템을 바 가의 경쟁력인 중간관리자들의 리더십
꿔가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을 바로 세워야 하고, 직원들의 노동시
마지막으로 이찬 교수는 HRD담당자들 장 생존력과 직결되는 리스킬링과 업스
을 위한 제언을 부탁했다. 먼저 임기석 킬링을 사명감을 갖고 수행해야 한다.”
상무와 진영심 상무는 “HRD 부서는 적 라고 제언했다.
은 리스크로 새로운 시도를 해볼 수 있 토론 이후엔 2개 트랙에서 논문발표가
는 부서이기에 당장 결과물이 나오지 않 있었다. ‘Research’ 트랙에선 ‘기업재직자
더라도 점검하고 성찰하는 가운데 새로 의 조직공정성, 조직지원인식, 직무배태
운 것들을 계속해서 도입해봐야 한다.” 성, 조직몰입 간 구조적 관계’와 ‘NCS의
상무는 이해와 기업 활용 사례’를 연구한 논문이
82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