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9 - 월간HRD 2023년 12월호
P. 79
한국HRD협회와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직무능력표준원은
직무 중심 HR과 NCS의 ‘직무중심 인사관리와 전반에서의 활용’을 주제로 잡고,
교집합 포착 발제와 토론으로 꾸려진 제3차 「NCS-HRD 포럼」을 개최했다.
직무는 직장생활의 근간이다. 그러니 “직무와 무관한 정보를 배제하고 NCS
자신의 직무에 대한 ‘Why?’, ‘What?’, 와 조직의 상황을 연계한 가운데 인재들
‘How?’에 답하지 못하는 조직 구성원 을 뽑고 있고, 그들과 팀의 지식, 기술,
은 높은 생산성을 발휘할 수 없다. 당연 태도를 평가하고 있으며, 그 결과에 따
히 회사는 변화, 혁신, 성장과 멀어지며, 라 승격/이동/보상을 시행하고 있다.”라
역량·경력 중심 세상을 살아가야 하 고 말했다. 이런 노력으로 전력거래소는
는 구성원은 경쟁력을 잃게 된다. 제3차 3년 연속 NCS 및 블라인드 채용 우수기
「NCS-HRD 포럼」은 이런 문제의식에 관 인증, 9년 연속 Best HRD 우수기관
서 포문을 열었다. 인증, 공공기관 정부경영평가 B등급 달
성, 2년 연속 노사우수기관 인증, 공정
NCS와 경영시스템 연계 채용 우수기관 인증 등의 성과를 냈다.
첫 번째 발제자인 채영진 전력거래소 기 계속해서 채 처장은 “NCS를 HR 전 프
획처장은 자사의 사례 기반 직무 중심 로세스에 활용하고자 한다면 직무란 무
HR의 과거, 현재, 미래를 다뤘다. 그에 엇인지, 직무 중심 HR이 조직의 성과에
따르면 과거의 기업들엔 대량생산과 점 어떻게 연계되는지, 직무에 대한 정의를
진적 기술변화가 이슈였기에 전력거래 모든 임직원이 받아들일 수 있는지, 직
소도 HR/HRD조직을 소규모의 지엽적 무 기반 평가는 공정하고 객관적인지 등
형태로 운영했다. 그러나 점점 현장 상 에 대한 해답을 도출해야 한다.”라고 강
황이 다채로워지면서 직무를 세밀하게, 조했다. 정리하면 조직 측면에선 직무분
구체적으로, 성과 지향형으로 설정해야 류 체계 마련, 직무기술서 고도화, 직무
했다. NCS를 도입한 배경이다. 관련해 정원 재산정을, 인사/급여 측면에선 직
서 채 처장은 NCS 기반으로 작성한 직 무 중심 인력운영 환류와 고도화 및 직
무기술서(소속: 전략기획팀, 직군: 경영 무급 확대를, 성과 측면에선 인센티브
기획, 직무: 경영전략 총괄)를 소개했고 확대, 평가 환류 강화, 평가 이해도 제고
DECEMBER HRD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