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9 - 월간HRD 2023년 12월호
P. 69

온보딩 + 지속가능성         기업들은 채용이 끝나면 일정 기간을 잡              에버보딩을 위한 준비작업은 직원 만족
                     고 신입사원들에게 회사의 문화, 일하는              도 조사, 직무수행능력 평가, 직원 이탈
 에버보딩                방식, 핵심가치, 미션과 비전, 비즈니스             률 측정, 문화 적합성을 기준으로 온보
                                                        딩이 성공적으로 운영됐는지 평가하는
                     현안, 업무 관련 지식과 능력 등을 가르
                     친다. 이것이 조기전력화를 위한 온보딩              것이다. 이후 에버보딩을 위한 프로그
                     이다. 이런 온보딩에 지속가능성을 더한              램 개발에 들어가야 한다. 모든 구성원
                     개념이 에버보딩이다. 신입사원뿐만 아               이 대상이긴 하지만 목적은 끊임없이 변
                     니라 모든 구성원을 대상으로 연속적인               화하는 세상을 살아갈 ‘적응력’을 높이
                     온보딩을 시행해야 한다는 뜻이다. ‘배움             는 것인 까닭이다. 이때 HR/HRD담당
                     엔 끝이 없다’는 격언을 체감할 수 있는             자들은 여러 부서와 협업해야 한다. 구
                     시대가 펼쳐졌기 때문이다.                     성원들 각각에 필요한 교육훈련을 맞춤
                     atd의 에버보딩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면             형으로 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구직자들의 약 80%는 전문성 개발과 지             각 팀의 리더들, 에버보딩 대상자의 멘
                     속적 학습을 우선순위에 둔다. 그리고               토 혹은 동료들, 고위 경영진도 참여시
                     직장인들의 약 94%는 고용주가 직원들              켜야 한다. 리더들은 에버보딩이 진행되
                     의 성장에 더 많이 투자하면 그 회사에              는 과정에서 강의를 펼치고, 질의응답에
                     오래 머물 것이라고 말한다. 시의적절한              참여하고, 맞춤형 피드백을 해줘야 하는
                     역량개발에 전념해야 노동시장에서 경                사람들이다. 멘토 혹은 동료들은 에버보
                     력을 이어갈 수 있는 세상임을 인지하고              딩이 편안한 분위기 속에 진행될 수 있
                     있는 것이다.                            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들이다. 고위
                     계속해서 에버보딩의 이점을 보면 첫째               경영진의 경우 에버보딩 진행에 공식적
                     로 구성원들이 일터에서 안정감과 행복               인 힘을 실어줄 수 있다. 그야말로 HR/
                     감을 느끼며 업무, 소통, 학습에 임한다.            HRD담당자들의 협업 역량이 요구된다.
                     둘째로 구성원들은 팀의 성과 창출에 공              개발을 마쳤다면 90일 동안 체계성과 일
                     헌하면서 개인의 성장도 이룰 수 있다.              관성, 소통의 투명성, 다양한 부서의 참
                     셋째로 꾸준히 역량을 개발하므로 경영               여, 관계자들과의 협업, 적절한 콘텐츠
                     환경과 노동시장 변화에 전략적으로 대               큐레이션, 1 on 1 질의응답을 중심으로
                     응할 수 있다. 넷째로 학습조직이 된 만             에버보딩을 시행한다.
                     큼 새롭고 혁신적인 비즈니스 아이템을               일과 삶에서 주체성을 발휘하길 원하는
                     찾아낼 확률이 높아진다. 여러모로 에버              인재들이 많아졌다. 이런 인재들의 마음
                     보딩은 회사의 비즈니스 목표를 성공적               을 사로잡기 위해서는 배움, 대우, 비전
                     으로 달성하고, 인재들이 끊임없이 발전              측면에서 확신을 심어줘야 한다. 관련해
                     하면서도 오래 머무르는 조직으로 변화               서 유용한 프로그램 중 하나가 바로 에
                     하는 것을 돕는다.                         버보딩이다.


                                                                         DECEMBER HRD  67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