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7 - 월간HRD 2023년 12월호
P. 67
HRD의 미래를 위한 준비 한국HRD협회와 고려대학교 HRD정책 때문이다. 또한, 조직의 형태, 업종, 종
연구소가 함께 시행했던 ‘2023 한국기업 업원 수 등은 큰 영향력을 미치지 않았
한국기업 HRD Index HRD 지표 조사’의 목적은 네 가지였다. 지만 HRD 활동을 전담하는 부서가 존
재하는 회사가 체계성을 보이고 있었다.
첫째로 시스템 관점에서 HRD 프로세스
확인, 둘째로 전략적 HRD 차원에서 경 그리고 HRD 활동이 활성화되어 있고
영전략과의 연계성 및 지원 현황 확인, 체계적일수록 HRD 경쟁력이 높다는 점
셋째로 각종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확 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인, 넷째로 HRD 자체의 경쟁력 수준 확 그런가 하면 특이점으로는 HRD에
인이었다. 서 꾸준히 제기되는 과제인 전략적
설문조사는 지난 5월 10일부터 동월 26 HRD(SHRD)는 통계적으로 큰 의미가
일까지 실시했는데 주요 내용을 보면 다 없었던 점이었다. 오히려 조직의 문제를
음과 같다. 먼저 기본사항(조직형태, 업 파악하고, 해결하고, 과정과 결과물을
종, 종업원 수)과 기본현황(부서형태, 부 평가해서 조직을 개선하는 역량이 HRD
서원 수, 연간 교육비)을 확인했다. 다음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으로 최근 2년 동안 HRD 활동을 살펴 SHRD를 이미 많은 기업과 HRD담당
봤다. 골자는 경영진의 HRD 마인드 및 자들이 실행하고 있다는 뜻이며, 이제부
지원, 경영전략과 HRD의 연계, HRD 터는 더욱 발전된 역량으로 조직개발을
와 HRM과의 연계, HRD 중심 문제파 해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평가’는 2
악, HRD 중심 문제해결, HRD 활동 평 점대 점수가 도출된 만큼 개선이 필요하
가, HRD 프로세스를 위한 지원이었다. 다. 과거부터 지금까지 평가는 HRD담
그리고 경쟁력에서는 인적자원 역량 경 당자들의 발목을 잡고 있었다.
쟁력, 내부 프로세스 역량 경쟁력, 대고 아울러 조 교수는 “한국 HRD의 현주소
객 역량 경쟁력을 조사했다. 와 미래를 더욱 세밀하게 살피기 위해서
이번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총 547명의 는 주기적인 설문조사가 필요하다.”라고
데이터가 수집됐고 그중 신빙성을 고려 말했다. 어려운 일도 반복해서 해보면
해서 290건을 분석했다. 분석에 따른 결 어느샌가 익숙해지고, 그것을 더욱 잘
과물은 『월간HRD』에 소개됐고, 조대 해낼 방법도 찾을 수 있다. 현장 적용성
연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가 「HRD 과 실효성 향상을 위한 데이터인 HRD
KOREA」에서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조 Index 개발이 그렇다. 그리고 관련 역량
교수에 따르면 우리나라 HRD 수준은 은 HRD담당자들이 데이터와 테크놀로
크게 잘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해서 못하 지 중심 일터에서 생존할 수 있는 자산
지도 않은 ‘중간 이상의 역량’을 발휘하 이다. 그야말로 ‘2023 한국기업 HRD 지
고 있는 상태였다. 5점 만점 중 다수 항 표 조사’는 HRD의 미래를 위해 많은 것
목의 평균점수가 3.5점 언저리에 있었기 을 알려줬다.
DECEMBER HRD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