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3 - 월간HRD 2023년 12월호
P. 63
일터의 성장, 성과, 행복 촉진 코칭은 김재은 인코칭 대표에 따르면 지 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혜 습득에 목적이 있고, 스스로 생각하 줄 수 있는 것이 코칭이다. 이것이 바로
사내 코칭 시대 는 힘을 길러주고 주변 사람들과 올바른 기업들이 점점 코칭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고, 나아가 사내 코칭을 실행하고 있
파트너십을 맺도록 돕는다. 전자와 후자
는 창의력,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협업 는 배경이다.
을 아우른다. 이는 기업들이 바라는 성 사내 코칭의 형태는 1:1 코칭, 그룹코
장, 성과, 행복이 가득한 일터를 만들어 칭, 팀코칭 등으로 다양하다. 인코칭에
줄 수 있는 기본기다. 따르면 사내 코칭의 성패를 가르는 기준
리더든, 구성원이든 기업에서 기본적인 은 코칭업체 선정, 소통의 창구, 판단의
교육을 받는다. 이후에는 무엇을 잘하 기준, 코칭에 대한 확신, 프로젝트 설계,
고 있고 또 못하고 있으며 더 나은 방향 추진 프로세스, 코칭 목적 및 신뢰, 내부
으로의 변화를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 협업, 보고서, 공동의 결과, 사내문화,
지 성찰하고, 그에 따른 행동을 실천하 확산, 유지가 있다. 이런 기준을 잘 준수
며 높은 생산성을 발휘해야 한다. 티칭 하는 기업들은 바람직한 코칭 문화를 조
과 함께 코칭이 필요한 것이다. 또한, 비 성함으로써 성과를 내고, 성장하고, 행
즈니스의 성격이나 회사의 규모를 막론 복지수를 높이고 있다.
하고 기업 구성원은 점점 젊어지고 있으 한독, SK텔레콤, 서울아산병원, 삼성서
며, 젊은 리더들도 많아지고 있다. 세대 울병원을 중심으로 사내 코칭 Practice
가 바뀌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젊은 를 살펴보면 기업들은 ‘코칭은 역량을 개
리더들에겐 자신들보다 경험이 많고 나 발할 귀중한 기회이자 더 나은 직장인이
이도 많은 팀원이나 디지털 네이티브인 되기 위해 필요한 것’임을 구성원에게 강
젊은 팀원과 어떻게 소통해야 하는지, 조하고 있다. 또한, 수평적 소통 기반 조
어떻게 동기를 부여해야 팀의 성과가 창 직의 성과와 행복지수를 높이는 리더십
출되는지, 리더가 받는 압박감을 어떻 육성에 코칭을 활용하고 있다. 그리고
게 이겨내야 하는지 등 많은 고민거리 코칭을 도입하는 것을 넘어 사내 코치를
가 있다. 이런 문제들은 지식, 정보, 기 육성하며 구성원이 새로운 경력을 개발
술이 아닌 지혜로 해결할 수 있다. 그런 할 수 있게 도움을 주고 있다. 아울러 작
가 하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기업들 은 성공을 그려보고 그것을 이뤄내도록
은 강제적으로 시행해야 했던 재택근무 지원하며 구성원들의 미래를 향한 생각
가 잘만 활용하면 효과적이라는 것을 깨 과 태도를 변화시키고 있다.
닫게 됐다. 또한, 서로 물리적으로 떨어 이제 누구든 마음만 먹으면 양질의 정보
져 있는 만큼 어떻게 하면 정확하게 보 와 지식을 쉽게 얻을 수 있고 점점 개인
고하고, 지시하고, 소통하고, 업무에 대 의 삶을 중시하고 있다. 이런 시대상에
한 피드백을 해줘야 하는지 고민하게 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코칭이다.
DECEMBER HRD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