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5 - 월간HRD 2023년 12월호
P. 35
내용을 일부 변경하거나, 필요해진 교 생명체인 사람은 살아가며 많은 것을 보
육을 새로 만들거나, 더 이상 필요하지 고, 듣고, 배우고, 생각하며 변화한다.
않은 교육은 목록에서 제거한다. 그러 기업도 하나의 생명체다. 그렇기에 직무
나 현대 경영환경에서는 직무의 성격과 의 성격과 내용은 변화하기 마련이다.
내용이 수시로 바뀐다. 바뀌지 않았다 더욱이 지금은 생성형 AI를 중심으로 단
고 하더라도 앞으로는 바뀔 가능성이 점 순하고 반복적인 업무들이 빠르게 대체
점 커지고 있다. 이는 직무재설계를 요 되며 일을 위한 일이 점점 줄어들고 있
구하는데 시작점이 직무분석이다. 따라 다. 이는 직무가 바뀌는 속도가 더욱 빨
서 HRD담당자들은 직무분석력 애질리 라질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인간 본
티를 높여야 한다. 조직에 직무재설계가 연의 의지와 감성이 반영된 직무기초능
필요할 때 최대한 빠르게 개입해서 직무 력이 중요해지고 있는 배경이기도 하다.
분석을 마쳐야만 인력의 적정성과 조직 또한, 젊은 세대는 회사에서 어떤 직무
의 안정성을 높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를 수행하며, 이를 통해 어떤 역량을 개
관련해서 연구를 보면 국내에서 활발하 발해서 경력을 풍성하게 만들어갈 것인
게 활용되고 있는 ‘DACUM(Developing 지를 직장생활의 중심에 둔다. 기성세대
A Curriculum)’ 기법을 확실하게 학습해 역시 시대 변화를 인지하며 리스킬링과
놓을 필요가 있다. 업스킬링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DACUM 기법은 내용전문가(content 이런 때일수록 HRD담당자들은 직무분
expert)들이 참여한 워크숍을 통해 기업 석력을 강화해야 한다. 기본기가 곧 실
구성원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를 정의하 력이며 모든 것은 기본기에서 시작한다.
고 직무와 과업을 규명하는 것인데 주로 HRD담당자들이 역량 중심 사회 변화에
‘DACUM 차트’를 결과물로 도출한다. 대응할 수 있는 기본기는 넓고 깊은 직
그 과정에서 의사결정은 브레인스토밍, 무분석력을 바탕으로 발휘되는 전문성
토론, 합의를 통해 이뤄진다. 과 통찰력이다.
[참고 자료]
수도권 지역문화재단 사업부서 담당자의 직무분석 연구, 최지혜, 김정원, 한국문화융합학회(2023)
혁신성장 분야의 미래 직업역량 요구분석, 박가열, 이은수, 한국직업자격학회(2023)
요구분석 기반 산업체 기초직무역량 비교 분석: 대학의 계열별 진출 산업체를 중심으로, 김대중, 한국핵심역량
교육학회(2021)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지침서, 주인중, 박종성, 변숙영, 홍원표, 한국직업능력연구원(2003)
직업상담원 직무분석, 정윤경, 김봉환, 김임태, 서우석, 송병일, 오성욱, 이종길, 정철영, 최일영, 표경희, 한국직
업능력연구원(1998)
DECEMBER HRD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