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2 - 월간HRD 2023년 12월호
P. 32
ISSUE
의 흐름도 정리해야 한다. 하나의 모형 직무명세서, 작업명세서 작성으로 넘어
을 만드는 것인데 좌측 세로줄은 책무로 가야 한다. 먼저 직업명세서는 직업분
설정하고, 각각의 책무에 맞춰 세부 작 류, 직무수행에 필요한 조건, 인력 양성
업들을 수평으로 나열하면 된다. 직업상 실태 및 취업 경로, 작업 환경 조건, 관
담원의 사례를 계속 활용해보면 취업상 련 직업과의 관계, 직업기초능력으로 구
담 책무에선 구인상담하기, 구직상담하 성된다. 여기에선 ‘직무수행에 필요한 조
기, 창업상담하기, 구인처와 구직자 연 건’이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한다. 성별,
계하기, 채용행사 개최하기 등이 있을 나이, 학위, 신체적 특이사항, 견습기간
것이며 직업상담행정 책무에선 문서작 (OJT), 직업활동영역, 승진 및 전직, 직
성 및 관리하기, 회의 및 세미나(직무교 업적성, 소요특징(정신적, 신체적으로
육) 참석하기, 다른 기관과의 협업 추진 요구되는 부분)을 기입해야 하기 때문이
하기, 출판 및 홍보하기, 전화 응대하기, 다. 또한, 직업기초능력은 의사소통능
방문객 면담하기 등이 포함될 것이다. 력, 외국어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
작업인 만큼 형용사적인 표현은 삼가야 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등을 일컫는데
하며, ‘~하기’와 같이 행동으로 연결되 각 능력의 상대적인 비중은 다를지라도,
는 표현을 써야 한다. 그리고 설령 직무가 달라진다고 해도 많
직무의 모형을 만들었다면 직업명세서, 은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능력들이라 중
30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