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9 - 월간HRD 2023년 12월호
P. 29

교육은 체계적인 시스템이 뒷받침될 때 큰 효과를 발휘한다.

                               중간관리자들의 매니지먼트 역량을 높이고자 한다면
                            그들의 역할과 자격, 상태와 현장 상황을 면밀히 조사한 다음
                          ‘Why?’, ‘What?’, ‘How?’를 아우르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











                     위해 현장에서 관리자들이 부딪힐 수 있              중간관리자는 조직을 사람이라고 봤을
                     는 다양한 문제와 이슈를 학습하도록 했              때 척추다. 경영진과 직원들 사이에서
                     다. 이로써 구글은 행동에 대한 매뉴얼,             가교 역할을 해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가이드라인은 물론 자료를 검색하여 스               아주 중요한 존재들이지만 당장 맞닥뜨
                     스로를 피드백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              린 수많은 과제로 인해 우선순위에서 밀
                     었다. 이는 조직의 시스템과 현장 중심              려나게 됐다. 그러나 다양한 세대가 공
                     학습이 결합해서 만들어진 성과라고 볼               존하고 있고 세대 변화가 더욱 빨라지고
                     수 있다. 여기에 더해 양재완 교수는 “육            있고, 기업이 많은 변화를 시도하고 있
                     성만큼 중요한 것이 효과적인 시스템을               는 지금 주의 깊게 봐야 하는 존재가 중
                     만드는 것입니다.”라고 강조하며 다양한              간관리자들이다. 이들의 매니지먼트 역
                     경영현장을 데이터로 만들어서 리더십                량이 뛰어나야 기업이 바라는 성과가 창
                     그리고 매니지먼트의 효과성을 최대한                출된다. 세부 비중에 차이가 있다고 해
                     정확하게 증명하는 것이 중간관리자 매               도 기업에서 관리, 즉 매니지먼트는 꼭
                     니지먼트 교육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필요하다. 정확하고 깊은 진단 없이는
                     제언했다.                              성장과 발전을 바랄 수 없다.








                       [참고 자료]
                       High Output Management, 앤드루 S. 그로브, 청림출판(2018)
                       만약 고교야구 여자 매니저가 피터 드러커를 읽는다면, 이와사키 나쓰미, 동아일보사(2022)


                                                                         DECEMBER HRD  27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