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 - 월간HRD 2023년 12월호
P. 28
ISSUE
매니지먼트가 무엇인지 학습하도록 해
야 하는 것이죠. 짐작하거나 간접적으로
보고 이해하는 것이 아닌 매니지먼트가
어디에서 시작해서 어디로 가야 하는지,
어떤 방법론을 따라가야 가야 하는지 명
확하게 이해시켜야 합니다.”
중간관리자의 고충에는 여러 이유가 있
겠지만 자신이 관리자로서의 역할을 수
행한다는 것을 명확히 인식하지 못하고,
그 영향력도 인정받지 못하는 조직문화
가 큰 부분을 자리하고 있다. 이 상황에
서 HRD담당자들이 지원해야 할 부분은
중간관리자들에게 관리자로서의 자기효
능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로써 그들이
▲ HRD담당자들은 세대와 일하는 방식 변화로 인해 고충을 겪 관리자 역할의 의미를 찾고 스스로를 동
는 중간관리자들을 잘 살펴야 한다.
기부여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조직 차
원에서도 그들이 중요한 인재들이며 조
이에서 소통의 매개체 역할을 해내야 하 직에 매우 도움이 되는 일을 하고 있다
는 중간관리자가 많은 스트레스에 시달 고 인정해주는 접근이 필요하다.
릴 수밖에 없다. 이들이 직면하는 어려
움을 주시하고 있는 양재완 교수는 다음 매니지먼트의 시작과 끝을 아우르는
과 같은 의견을 전했다. HRD 시스템
“중간관리자들은 ‘권한은 부족하고 책임 중간관리자의 영향력은 그들이 조직
은 많다’라는 말을 많이 합니다. 특히 실 에 존재하지 않을 때 비로소 나타날 때
무형 관리자라는 말은 본연의 역할인 매 가 있다. 기술자 집단으로 이뤄진 구글
니지먼트에 더해 실무에도 많은 시간을 은 관리자의 필요성을 간과하며 전격적
투자한다는 뜻입니다. 참 어려운 일이 으로 직급을 없앴던 때가 있다. 그러나
죠. 일례로 변화에 부딪히면서 새로운 이는 얼마 지나지 않아 조직에 큰 혼란
일을 팀원에게 줬는데 그 일을 받지 않 을 초래했고, 그에 따라 옥시젠(Project
아서 생기는 갈등도 있습니다. 그래서 Oxygen)이라는 관리자 육성 프로젝트를
조직의 구조적, 문화적인 개선이 필요합 실행했다. 리더는 조직의 산소와 같다는
니다. 그리고 매니지먼트 트레이닝도 잘 뜻으로 인터뷰를 통해 좋은 리더의 조건
시행돼야 합니다. 현장에서 효과를 발 을 찾아냈고, 관리자의 역할과 책임을
휘할 수 있는 내용을 가르치면서 올바른 명확하게 설정했으며, 그들을 육성하기
26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