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 - 월간HRD 2023년 12월호
P. 27

이며, 그 활동이 경영이다. 그리고 교육
                     은 전략적 성과관리 시스템의 일부로 활
                     용되는 개념이라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교육을 통해서는 역량 강화가 이뤄지는
                     데 열심히 할 수 있는 태도와 열심히 할
                     수 있는 능력치를 뜻한다.
                     세 개의 개념은 조직의 성과 창출을 이
                     뤄낸다는 측면에서 공통점이 있고, 중첩
                     되는 부분도 있다. 그러니 각 개념이 어
                     떻게 중첩되고 자사에서 필요로 하는 것
                     이 무엇인지 확인해야 한다. 특히 현장
                     에서의 매니지먼트는 목표를 위한 성과
                     창출을 뜻한다. 관련해서 매니지먼트를
                     수행하는 인원들은 주로 ‘팀장’ 역할을
                                                        ▲  양재완 교수는 “조직이 원하는 매니지먼트 역량을 정확하게
                     하는 중간관리자라고 볼 수 있다. 양재               정의해서 중간관리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합니다.”
                                                         라고 제언했다.
                     완 교수는 “기술적 수준과 지식적 수준
                     이 높고, 그 두 가지 수준이 짜임새 있게
                     연결되어 있고, 직원들을 관리하고 다독              변화는 일터의 변화를 넘어 사람들의 가
                     이고 격려하는 능력도 갖추고 있으며,               치관 다변화로 이어졌다. 이것이 중간관
                     혁신을 해내기 위한 아이디어를 낼 수               리자가 가치관이 다른 집단, 젊은 세대
                     있는 사람이 중간관리자입니다.”라고 말              와 기성세대 사이에서 양측의 이해관계
                     하며 현장에서부터의 혁신을 만드는 데               를 대변하고 조정해야 하는 이른바 ‘낀
                     있어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는 사람이               대’라는 소리를 들으며 고충을 겪게 된
                     중간관리자라고 짚어줬다.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조금 더 자세히
                                                        보면 비대면 업무수행이 잦아지며 중간
                     조직과 개인의 변화, 과도기에 선 중간              관리자들이 조직의 규범을 현장에 가르
                     관리자                                치고 구성원을 동기부여하는 일의 효력
                     중간관리자는 팀원들에게는 ‘그의 지시               이 떨어졌다. ‘왜 이 일을 해야 하는지’
                     가 곧 회사’로 인식될 정도로 큰 힘을 발            이해시키는 일이 더 어려워진 것이다.
                     휘하는 자리다. 또한, 변화관리를 도맡              또한, 중간관리자들은 개인의 욕구와 선
                     는 현장의 전문가라는 위치와 능력은 함              호도에 더 많이 반응해 줘야 하고, 개인
                     께 일하는 사람들에게 영향력을 펼친다.              들의 권리의식이 향상됐기 때문에 그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 이제는 사라진             사이의 충돌을 막아야 하는 일도 잦아졌
                     평생직장, 저성장 시대로의 돌입과 같은              다. 당연히 의사결정권자와 팀원과의 사


                                                                         DECEMBER HRD  25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