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 월간HRD 2023년 12월호
P. 25
조직이 새로운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모든 구성원이 변화에 잘 적응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현장성 높은 매니지먼트이며,
여기에서 중추적 역할을 하는 존재가 중간관리자다.
현장에서 시작되는 매니지먼트 는 것이 예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조직이 새로운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현장에서의 매니지먼트가 필요하며 여
위해서는 모든 구성원이 변화에 잘 적응 기에는 변화의 필요성과 목표를 명확히
하고 추진하는 방향에 충실히 따라오도 이해하고 전달하는 것, 변화와 목표에
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많은 기업이 조 구성원들을 동참시키는 것, 변화가 진행
직혁신 방안으로 인사 재배치와 제도 변 되는 동안 피드백을 수렴하고 그에 따른
화를 추진한다. 이런 작업은 여전히 큰 조치를 취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물론
영향력을 만드는 요인이지만 요즘은 경 구성원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조직의 변
영환경 변화의 주기가 더 짧아졌고, 상 화 전략을 필요에 따라 조정하는 작업도
황에 맞춰 최적화를 이뤄내는 데 집중해 요구된다. 결국 지속적으로 현장의 변화
야 하는 만큼 변화관리의 중점이 업무 를 관리하며 목표를 위해 구성원의 수행
를 수행하는 구성원의 행동 변화로 옮 을 촉진해야 함을 뜻한다. 그렇다면 매
겨가고 있다. 따라서 업무처리, 부서 간 니지먼트란 무엇이며, 성과 창출을 위해
의 업무교류, 의사소통, 책임소재, 상급 어떤 것들을 고려해서 조직의 변화를 체
자의 업무 태도 등과 같이 현장에서 접 계적으로 추진해야 하며, 무질서를 질서
하는 각 요소가 조직이 추진하는 목표와 로 만들 때 과연 변화가 정착될 수 있는
연계되지 않는다면 그 모든 것이 변화에 지 등을 살펴보면 매니지먼트의 본질을
저항하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여러 방식으로 불안을 제기하는 사
람들이 존재할 수 있다. 심리적 안전감 관리자의 역할과 역량
을 요구하거나, 문제가 있는 팀장에게 관리자가 만들어 내는 결과물은 조직의
조직을 관리하는 일의 중요성을 제시하 성과다. 앤드루 S. 그로브 전 인텔 CEO
DECEMBER HRD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