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 - 월간HRD 2023년 12월호
P. 20
SPECIAL INTERVIEW 조동성 산업정책연구원 이사장
배움을 인생의 동반자로 여기며
흐름과 변화의 맥을 짚는
석학의 시선을 엿보다
대담_엄준하 발행인 정리_이정구 편집팀장 사진_홍희지 기자
국가 브랜드 파워(Nation Brand Power) 4위. 조동성 산업정책연구원 이사장이 오랜
연구를 통해 발표한 대한민국의 랭킹이다. 개발도상국 또는 후진국으로 평가받던
시절을 생각하면 눈부신 성과다. 물론 달라진 위상에 안주하면 곤란하다. 생성형
AI를 필두로 세상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부터 진짜인 셈이다.
그렇기에 빠른 속도와 올바른 방향성이 연계된 배움으로 과거를 성찰하고, 현재를
분석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조동성 이사장과의 대담은 특별했다.
엄준하 발행인: 국가 브랜드 파워 연구에 조동성 이사장: 공식은 ‘Nation Brand
몰두하신 배경이 있는가. Earnings x Nation Brand Power =
조동성 이사장: 삼성이나 LG 같은 대기 Nation Brand Value’다. 제품과 서비스
업의 제품에 ‘Made in Korea’ 라벨이 눈 수출량이 크고, 국가 브랜드 파워가 높
에 띄지 않는 곳에 붙어 있던 시절이 있 으면 그 국가의 브랜드 가치가 높아진
었다. 국가의 위상이 낮았고, 그로 인해 다. 국가 브랜드 파워는 국가 경쟁력
제품이 평가절하될 불상사를 막기 위해 (National Competitiveness)과 심리적 친
서였다. 그래서 2000년부터 국가 브랜 근도(Psychological Proximity)를 합한 값
드 파워 수치화 작업에 집중했다. 그래 에 국가 브랜드 전략 지수를 곱함으로
야 대한민국의 경쟁력을 높일 방법을 찾 써 결정된다. 국가 경쟁력은 경제력 수
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준이고, 심리적 친근도는 이미지(Image)
엄준하 발행인: 연구를 통해 개발하신 모 와 관계(Relationship)로 구성된다. 이미
델을 소개해달라. 지는 국가지도자, 인권, 도덕성, 안정성,
18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