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 - 월간HRD 2023년 12월호
P. 16
SPECIAL COLUMN
직업세계 대변혁 시대,
직업교육훈련의 방향
글_강순희 경기대학교 직업학과 교수
인간은 생계를 위해 소득을 얻는 경제적·사회적 활동을 끊임없이 해야만 한다. 하지
만 이렇게 불가피한 직업활동 과정에서 인간은 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
으며, 자아를 실현하고 자신의 가치를 발견하게 된다.
직업은 환경 변화에 따라 생성, 성장, 소멸, 그리고 융합과 분화의 과정을 거치게 된
다. 근래 4차 산업혁명, 디지털 대전환으로 대변되는 기술혁신과 글로벌 아젠다인 탄
소중립 정책은 산업구조의 일대 변혁을 초래하고 있으며, 코로나19 팬데믹의 충격은
경제·산업 및 사회 전반에 디지털화, 자동화, 무인화를 가속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환경 변화는 신기술·신산업 분야에서 새로운 직업을 창출하기도 하고 한편에서는 일
자리를 없애거나 줄이기도 한다.
일의 내용과 일하는 방식에서도 대변환이 일어나고 있다. 산업구조변화에 따른 일자리
및 일하는 방식 변화는 일을 준비하는 사람과 기존 종사자 모두에게 새로운 역량 습득
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그런데 지금의 이러한 필요역량 습득은 과거와는 달리 개인
의 힘만으로는 해내기 어려우며 기업과 국가가 전략적으로 지원해야만 가능하다.
지금은 직업과 일자리 변화를 예측해 현실적으로 전환, 소멸해가는 직업 종사자들이
새로운 직업과 일자리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미래전환 직업지도와 미래 역량 교육훈
련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저탄소·디지털화에 따른 산업구조 전환이 본격화되면
서 공정하고 원활한 노동전환을 위한 인재양성전략을 새로이 세울 필요가 있다. 특히
개인이 전통적인 기술·지식 이외에 디지털·소프트 스킬 등에서 훈련내용과 훈련 방
식을 자기 맞춤형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직무전환과 전직훈련의 참여도와 효용성
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디지털 대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 기술인력 육성은 개인은 물론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과 지속가능성의 핵심 요건으로서 더욱 중요하다. 디지털 기술의 사용으로 산
업, 조직, 프로세스, 비즈니스 모델, 문화, 시스템 등 일상을 포함한 사회 전반이 근본
14 HRD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