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4 - 월간HRD 2023년 12월호
P. 134

HRD CENTER





                 화입니다.”라고 돌아봤다. 이외에도 교              가 있는 서울대학교에서부터 호남권, 충
                 육원은 그간 인류를 괴롭혔지만 잠잠해               청권, 영남권 소재로 구분하여 전주대학
                 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피해와 변             교, 포항공과대학교, 고려대학교 세종캠
                 화를 아우르는 작업에 집중하고 있었다.              퍼스에서 순차적으로 진행됐다. 특히 김
                 요약하면 오프라인 교육생 감소에 따른               종윤 야놀자 대표, 이현재 우아한형제들
                 내실화, 대면교육 정상화, 그리고 학습              이사, 김하섭 메디프레소 대표 등 영향
                 자의 개별적인 니즈를 충족하는 현장 중              력이 남다른 인물들이 연사로 참여해서
                 심의 교육 추진이었다.                       푸드테크와 관련한 기업의 우수한 성공
                 이어서 농식품공무원교육원의 교육과정                사례를 공유했다. 그렇기에 행사장에 모
                 을 살펴보면 현재 187개 과정을 운영하             인 청년들은 정책과 기술을 이해하는 것
                 고 있다. 그중 대면 교육이 93개, 비대            은 물론 혁신적인 푸드테크 현장의 이야
                 면으로 진행되는 이러닝이 94개다. 올              기를 들을 수 있었다. 이런 행보는 농식
                 해 추진된 주요 과정들은 무엇보다 농               품공무원교육원이 농업 분야 전반을 아
                 정목표로 제시된 ‘튼튼하고 굳건한 식량              우르는 거시적인 안목으로 교육을 개발
                 주권’, ‘혁신하고 성장하는 역동적 농업’,           해서 운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두텁고 안정적인 농가경영 안전망’, ‘건            김수일 원장은 “산업계의 변화와 성장,
                 강하고 안전한 국민 먹거리’, ‘쾌적하고             트렌드도 교육원이 살뜰하게 살피며 미
                 매력적인 농촌’에 연계하는 것이 목적이              래 지향적인 교육을 설계해서 제공해야
                 었다. 또한, 모든 과정들은 농림축산식              한다는 생각이 더욱 강해졌습니다.”라고
                 품부와의 소통을 통해 정책적으로 어떤               털어놨다.
                 교육이 필요한지 과마다 협의하고 편성               이외에도 농식품공무원교육원은 신임
                 하는 작업을 거친다. 성과의 경우 필요              주무관 교육부터 장기 재직자 퇴직 과
                 한 교육들이 잘 편성됐는지, 교육 참여              정, 귀농·귀촌 은퇴자 과정도 제공한
                 율은 어땠는지, 만족도를 평가하는 피드              다. 세부 내용/방식은 재무설계, 여가 활
                 백 수준은 어땠는지 등을 중심으로 진단              동, 현장 학습지도 등으로 다양하다. 특
                 한다. 김수일 원장은 “올해 교육과정은              수 분야로는 반려동물이 있다. 반려동물
                 내실 있게 진행됐다는 데이터와 피드백               의 위생과 건강과 같은 돌봄을 위한 교
                 이 많았습니다.”라고 덧붙였다.                  육은 물론 사료의 생산, 동물 공급관리,
                 또한, 농식품공무원교육원은 올해 업계               공중방역수의사 신임실무 교육까지 농
                 의 화두인 푸드테크를 비롯하여 미래 농              식품공무원교육원이 담당하고 있다.
                 식품 발전을 위해 농업사회에서 첨단기               이렇듯 농식품공무원교육원은 업계에서
                 술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논의하는              전문성 가득한 교육과정을 제공한다는
                 ‘청년 푸트테크 토크콘서트’를 개최하며              점에서 대체 불가능한 큰 차별성을 갖고
                 화제를 모았다. 콘서트는 푸드테크 학과              있다. 그런 만큼 김수일 원장은 교육담


                 132  HRD MAGAZINE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