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3 - 월간HRD 2023년 12월호
P. 133

농식품공무원교육원




                        1956년에 설립된 농식품공무원교육원은 농식품 분야의 공무원을 비롯해
                        농업인과 농업/농촌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농식품 정책에 기초한 전문성 높
 HRD의 전문성, 공익성,         은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농업·농촌 도약을 위한 농식품 인재양성’

                        이라는 미션에 맞춰, 혁신하고 성장하는 농식품교육원이라는 비전 실현을
 다원성 실천                 위해 예나 지금이나 흔들리지 않고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는 농식


                        품 분야의 최신 기술과 동향에 주목하며 미래 농업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거
                        시적인 안목으로 수행하고 있는 활동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야말로 농식품
                        공무원교육원은 다양한 이슈를 살뜰하게 살피며 농업에는 경쟁력을, 농촌
                        에는 활기를 불어넣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소속 교육훈련기관인                 관리 이해 등의 교육이다.
                     농식품공무원교육원은 운영지원과, 교                올해 농식품공무원교육원에는 여러 변
                     육기획과, 전문교육과로 구성되어 있으               화가 있었다. 우선 지난 8월에 김수일
                     며 총 71명이 근무하고 있다. 3개 과의            원장이 새롭게 부임했다. 김수일 원장은
                     역할과 기능을 살펴보면 먼저 운영지원               1996년 농식품 본부에서 공무원 생활을
                     과는 인사, 조직, 보안, 예산, 시설 등 교          시작했고, 농산물 품질관리원과 농림축
                     육원 운영 전반을 관리하고 있다. 다음              산검역본부를 거쳐 지금에 이르렀다. 관
                     으로 교육기획과는 한 해의 교육훈련계               련해서 그는 “농식품공무원교육원에서
                     획을 수립한다. 교육 수요를 파악하고,              교육을 받던 학습자에서, 교육을 만들어
                     그 과정에서 신규 과정을 개설하거나 기              서 제공하는 사람으로 변모하게 된 과정
                     존 과정의 허점을 파악해서 개선/보완한              이 뜻깊습니다.”라며 뿌듯함과 감사함을
                     다. 또한, 교육원의 중요한 현안인 농정             담아 계속해서 교육원을 발전시킬 수 있
                     목표에 따른 교육과정을 구축하기 위한               는 방법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있다고 밝
                     조율과 평가의 역할을 수행한다. 마지               혔다. 그런가 하면 올해 교육원은 전남
                     막으로 전문교육과는 농식품 분야의 전               나주로 기관을 이전한 이후 10년을 맞았
                     문성이 담긴 분야를 다루고 있는데 전문              다. 강산도 바뀐다는 10년이라는 시간
                     교육과 소속 인원이 각 과정의 책임자로              이 흐른 것이다. 김수일 원장은 “나주혁
                     활동한다. 이들이 맡는 과정은 농식품               신도시에는 현재 16개 공공기관이 자리
                     소속 기관 및 유관기관, 농업인 등을 대             하고 있는데 그에 따라 도시의 편리성이
                     상으로 하는 농식품 유통 트렌드, 미래              크게 높아졌고, 이는 과거와 비교해보
                     농업 전문가 양성, 식량안보와 정부양곡              면 괄목상대라는 말이 어울릴 정도의 변


                                                                        DECEMBER HRD  131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