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9 - 월간HRD 2023년 12월호
P. 129

다. 이에 따라 일하는 동안 일부 학습의             직과 인력으로 재편하기 위해서는 실행
                     기회를 일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플립              과 사고가 수반되는 심층학습이 필연적
                     러닝이 중요한 방법이 된 것이다.                 이다. 마침, 플립러닝에서 사전학습으로
                     그러나 플립러닝에서 더 주목할 부분은               학습을 ‘뒤집은(flipped)’ 이유는 학습의
                     시간의 효율성보다 개별화된 맞춤형 학               질과 달성목표를 높이기 위함이다. 플립
                     습설계와 방법이다. 일터에서의 온라인               러닝은 실제 활동과 사고할 수 있는 기
                     학습은 일과 학습의 경계가 무너지므로               회를 확장했기 때문에 Bloom의 교육목
                     학습 집중력과 몰입 측면에서 문제가 발              표(Learning Taxonomy) 중 고차원 목표
                     생한다. 학습자의 집중과 몰입은 그들의              를 달성하는 데 최적화된 학습방법이다.
                     요구와 필요, 그들의 수준과 학습목표               플립러닝 설계자들에겐 깊은 고민이 필
                     간 차이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질             요하지만, 한편으로 이들은 자유롭게 창
                     적으로 플립러닝의 사전단계는 이를 염               의성을 발휘할 수 있다. 효과적인 심층
                     두에 두고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요구를               학습을 위해 사전학습과 잘 연계할 수
                     충족할 수 있도록 고안됐다. 개인의 가              있고,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각종 기술을
                     치와 이해를 염두에 두고 학습자 자신의              기반으로 상호작용을 설계할 수도 있다.
                     페이스로 학습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플              수많은 학습이론과 방법 가운데 어떤 것
                     립러닝은 학습자 주도적 활동이 성공할               을 적용할지는 설계자 혹은 교수자에 달
                     수 있도록 개별화된 맞춤형 학습설계를               려있다. 아이디어의 적용과 관련해선 다
                     우선해야 한다.                           음에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며, 이번 글
                     둘째, ‘심층학습을 어떻게 설계할까?’이             은 처음 플립러닝을 제안한 Bergmann의
                     다. 조직에서 요구하는 새로운 스킬들로              말로 마친다.
                     는 혼자서 단기간에 성취하기 힘든 디지              ‘수업을 뒤집는다면 티칭이 더 쉬워지지
                     털 스킬, 강의식으로 도달할 수 없는 소             는 않지만, 더 좋게 될 것이다(Flipping
                     프트 스킬, 새로운 시대에 적응하기 위              your class will not make teaching easier,
                     한 리더십 스킬 등이 있다. 스킬 기반 조            but it will make it better).’










                                 윤선경 박사
                                 한양대 IC-PBL교수학습센터 학습개발 총괄이며 사범대학 교육공학과에서 강의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산업교육학회 이사이며, 한국인력개발학회 『HRD학술총서』 3·4권, 『HRD연구방법가이드』 공동
                                 집필과 한양대 원격기반미래교육연구 등에 참여했다. HRD와 대학 현장의 학습역량 향상을 위한 강의,
                                 연구, 실천적 활동을 수행 중이다.

                                                                        DECEMBER HRD  127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