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7 - 월간HRD 2023년 12월호
P. 117
퇴직시키기 위한 교육이라는 오해를 살 기준이 격상되어 근로의욕이 향상됐다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는 기업도 있다. 셋째, ‘능력개발’이다.
수강 후 자기계발에 적극성을 띠거나 기
인생설계교육의 효과와 팔로우업 타 집합교육에 의욕적인 자세를 보이
도입 이후 상당한 성과를 거둔 곳들의 는 사례가 많아졌다거나 자격증 취득이
사례와 담당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인 나 교육 수료율이 중고령층에서 많아졌
생설계교육의 효과를 요약하면 네 가지 다고 보고하는 기업들이 대표적이다. 넷
로 정리할 수 있는데 기업 내에서 이뤄 째, ‘진로선택’이다. 인생설계교육의 기
지는 많은 교육의 성과를 측정할 때와 본적인 스탠스다. 현재 직무에서 어떻게
크게 다르지 않다. 첫째, ‘태도변용’이다. 하면 자기가 발전할 수 있는지 구체적
수강자의 말과 행동이 확실히 바뀌었다 방책을 학습하는 교육이기 때문이다. 아
는 피드백이 돌아오거나, 변화를 목격한 울러 장기적 인생설계라는 관점에서 가
동료가 자기도 인생설계교육에 참가하 령 조기퇴직해서 독립적인 삶을 사는 경
고 싶다는 의사를 밝힐 때가 그렇다. 둘 우에도 그것이 본인의 희망이고 의지라
째, ‘업적향상’이다. 교육 후 현장 개선을 면 하나의 모범 사례라고 간주하며 장려
이뤄낸 다음 전사 생산성 발표대회에서 하는 기업들도 있다. 이밖에 교육 후 수
보고하여 표창받은 사례가 있다. 또한, 강자로부터 ‘이런 교육을 받게 되어 감사
약 20% 인력을 영업부분으로 성공적으 한다’는 목소리가 전달되거나 반대로 비
로 배치전환했는데 그 배경에 인생설계 판하거나 반론하는 목소리가 없는 것도
교육이 있었다는 기업과 종래 업무목표 좋은 효과라고 간주할 수 있다.
DECEMBER HRD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