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4 - 월간HRD 2023년 12월호
P. 114

TD SKILL





                 베테랑들의 역량 활성화


                 인생설계교육 추진방법




                  글_HRD 편집부








                 ‘인생설계교육(Life Planning Program)’    인생설계교육과 퇴직준비교육은 목표,
                 은 중고령층이 주요 타겟인 교육 이론이              대상, 내용, 기간, 방법, 강사, 효과, 문
                 자 방법일 뿐 아니라 기업 인사·노무에              제점에서 차이가 있다(114P 도표 참조).
                 서도 니즈가 있다. 이유를 보면 첫째, 중            예를 들어 여전히 역량개발 활성화를 도
                 고령층이 직업적 의욕이나 능력의 하락               모해야 하는 인원들이 퇴직준비교육을
                 없이 일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인사나             받는다거나 퇴직을 앞둔 사람들이 먼 미
                 노무 측면에서의 처우엔 한계가 있는 만              래를 위한 인생설계교육을 받도록 하는
                 큼 교육적 어프로치로 사기/의욕 저하를              경우도 있다. 모두가 교육 효과를 기대
                 방지해야 한다. 셋째, 업종전환이나 기              하기 어려우니 교육담당자들은 2가지 교
                 술혁신에 따른 역량 진부화 경향이 있으              육을 확실하게 이해, 구분, 운영할 줄 알
                 니 새로운 상황에 대응하는 능력을 체득              아야 한다.
                 시켜야 한다. 넷째, 미래를 스스로 설계
                 하도록 준비시키는 의미에서의 교육이                인생설계교육의 목적과 프로세스
                 필요하다.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인              인생설계교육의 목적은 8가지다. 첫째,
                 생설계교육을 정의하면 ‘중고령층이 앞               중고령층 사원들이 그들의 조직 내 위상
                 으로의 삶을 충실하게 보내도록 자세와               을 이해하고 인생관/가치관 확립의 중요
                 태도, 능력 재개발을 실시하는 동시에               성도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인
                 정년 이후 생활정보도 제공하는 교육’이              생을 설계하는 방법 학습이다. 셋째, 정
                 다. 위 문구는 재개발과 정보제공을 기              년까지 현역 제1선에 있어야 하는 조직
                 준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에 해당하는              인에게 필요한 자세와 태도, 커리어 등
                 것이 인생설계교육이고, 후자에 해당하               에 관한 교육과 정보 제공이다. 넷째, 현
                 는 것이 ‘퇴직준비교육(Pre-Retirement        재 커리어 분석과 향후 목표설정 및 능
                 Program)’이다.                       력개발방법 검토다. 다섯째, 앞으로의


                 112  HRD MAGAZINE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