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1 - 월간HRD 2023년 12월호
P. 111
크 생태계 조성을 위한 사업을 추진/확 술을 활용했을 때 교육 혁신이 가능하다
대하고 있다. 면 적극적으로 해당 영역의 산업을 육성
해야 한다. 그리고 보편적인 설계를 통
증거기반 에듀테크 생태계의 지속가능 해 기술에 따른 교육격차를 줄일 수 있
성을 위한 고려사항 어야 한다.
에듀테크 생태계를 조성하려면 무엇보 그리고 증거기반 에듀테크는 규제가 아
다 정부의 지속적인 행정적, 재정적 지 니라 ‘에듀테크 산업 육성과 진흥’을 목
원과 일관된 정책 운영이 중요하다. 그 적으로 한다는 인식을 공유할 필요가 있
리고 교육과 기술의 공존, 기술을 통한 으며 증거개발 과정 후 인센티브가 명확
교육의 혁신을 위해서는 자기설계 능력 하게 제시돼야 한다. 고된 증거개발 과
기반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구성할 수 있 정을 밟았지만 좋은 결실을 보장받을 수
어야 한다. 없다면 기업들의 증거개발 참여는 허황
아울러 다양한 아이디어와 기술을 가진 된 기대에 불과할 것이다. 인센티브는
창업가가 참여할 수 있는 생태공학적 접 동기부여에 효과적인 기제다.
근이 필요하며, 이런 과정을 통해 육성 앞서 미국과 영국의 사례에서 보다시피
한 에듀테크 산업이 글로벌로 확산할 수 실증에서 중요한 것은 실증 전문가들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역량이다. 잘못된 증거는 실증의 무용론
또한, 공교육을 지원하는 에듀테크 생태 을 가져온다. 체계적인 교육훈련을 바탕
계라는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비록 으로 하는 체계적인 실증 전문가 육성이
현재 산업적으로 시장성이 없더라도, 기 필요한 이유다.
[참고 자료]
Natalia I. Kucirkova(2023), EDTECH IMPACT EVALUATION FRAMEWORKS: SUMMARY
김용(2023), 증거기반 에듀테크 평가 인증체계 구축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23), 에듀테크 소프트랩 우수실증 사례 공모전 우수사례집
정훈 대표
에듀테크 리서치 컨설팅 기업, 러닝스파크 대표. 메타에듀테크-마켓인텔리전스 플랫폼인
애스크에듀테크닷컴(AskEdTech.com) 서비스를 운영하는데 국내외 교육 관계자들에게 에듀테크와
관련해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 공저로 『대한민국 교육 트렌드 2023』, 『디지털 교육 트렌드
리포트 2030』, 『교육혁명 2030』이 있다.
DECEMBER HRD 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