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0 - 월간HRD 2023년 12월호
P. 110
EDUTECH ROADMAP
성숙한 에듀테크 생태계를 일군 국가들은 높은 신뢰도 기반
교육과 기술의 공존, 기술을 통한 교육의 혁신을 이뤄내고 있다.
여기에서 핵심은 일부 에듀테크가 시장성이 없다고 하더라도
가능성이 있다면 멀리 보며 육성하고 진흥하는 안목과 투자다.
싼 협력은 복잡성을 넘어서고 있다. 국 임워크를 보면 호주의 AERO(Australia
가별 증거표준 개발을 넘어 글로벌 테스 Education Research Organisation) 표
트베드 얼라이언스 등으로 그 지평이 확 준, 인도의 EdTech TULNA 표준, 영국
대되고 있다. 의 NESTA 증거개발 표준, 월드뱅크 에
미국은 교육부 교육기술국(Ministry of 듀테크 전략, 에듀테크허브의 Sandbox
Education)이 에듀테크 공급기업과 학 Methodology of Innovation에서 증거개
교 구매팀을 위한 가이드라인과 지원 발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
문서를 발표한 덕분에 ESSA 증거표 특히 EAF(EdTech Alliance Finland) 교
준 채택이 널리 확산됐다. 이를 촉매 육학인증(Pedagogy Certification)은 주목
로 ISTE, Learn Platform 등 증거개발 할 필요가 있다.
을 전담하는 기관이 활동하고 있으며, EAF의 교육학인증은 교육학적 이해
Digital Promise, 1EdTech, Common 도를 중요시하여 학습목표(learning
Sense Education 등 다양한 기관이 전문 goal), 교수학습방법(pedagogy), 사용성
영역에서 증거를 개발하고 있고, ISTE (usability)이라는 3가지 기준으로 평가
의 산하조직 Edsurge에선 Product Index 한다.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학과 연구
증거허브(Evidence Hub)를 운영하고 조사 역량 강화를 통해 이뤄지는데 현재
있다. 영국의 증거개발 허브인 EdTech 150여 전문가를 배출했다.
Impact도 EAF(Education Alliance 한국의 상황을 살펴보면 초중등 영역에
Finland), EDDS, WhatWorked, WiKIT 서 에듀테크 실증 프로그램인 에듀테크
과 협력해 EdTech Impact New Quality 소프트랩을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을 중심
Framework를 발표하며 증거개발의 전 으로 경기, 광주, 대구에서 운영하고 있
문성 강화 및 증거의 상호운용을 추진 다. 또한, 서울특별시 교육청, 전북교육
하고 있다. 그 외에도 국가 차원의 프레 청, 충남교육청에서도 증거기반 에듀테
108 HRD MAGAZINE